<아트&아트인>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박서보

2019.08.12 10:12:38 호수 1231호

노화가의 70년 예술 인생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은 다음 달 1일까지 박서보 작가의 개인전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를 개최한다. 박서보는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불린다. 현대인의 번민과 고통을 예술로 치유해야 한다는 궁극적인 목표를 위해 묘법을 지속해왔다. 이번 개인전에선 박서보의 70여년 화업을 조명한다.
 

▲ 원형질(原形質) No.1-62  1962, 캔버스에 유채, 163x13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서보는 묘법 연작을 통해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해왔다. 그는 평론가, 행정가, 교육자로서 한국 현대미술을 일구고 국내외에 알리는 데 평생 헌신했다. 1956반국전 선언을 발표해 기성 화단에 도전했고, 1957년 작품 회화 No.1’으로 국내 최초 앵포르멜 작가로 평가받았다.

다양한 활동

이후 물질과 추상의 관계와 의미를 고찰하며, 이른바 원형질’ ‘유전질시기를 거쳐 1970년대부터 묘법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국 추상미술의 발전을 주도했으며 현재까지 그 중심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이끌어온 박서보의 삶과 작품세계를 한자리서 조망하는 대규모 회고전이다.

전시는 박서보의 1950년대 초기 작품부터 올해 신작까지 129, 아카이브 100여점을 다섯 시기로 구분해 선보인다. 첫 번째는 원형질 시기다. 상흔으로 인해 불안과 고독, 부정적인 정서를 표출한 회화 No.1부터 1961년 파리 체류 이후 발표한 한국 앵포르멜 회화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원형질 연작을 소개한다.

대량 학살과 집단 폭력으로 인한 희생, 부조리 등 당대의 불안과 고독을 분출한 작업은 부정을 거듭하며 기존의 가치관을 철저하게 파괴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화 No.1이 파괴의 장이라면 이후 제작된 원형질 연작은 파괴로부터의 절규서 나아간 생존의 몸부림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는 유전질 시기다. 1960년대 후반 옵아트, 팝아트를 수용하며 기하학적 추상과 한국 전통 색감을 사용한 유전질 연작과 1969년 달 착륙과 무중력 상태서 영감을 받은 허상 연작을 소개한다. 분노와 파괴서 절규로 이행하던 그의 작업은 1960년대 후반 다양한 실험을 거듭했다.

전통문화와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 박서보는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구현하려는 시도로, 오방색을 활용하고 당시 서구서 유행하던 옵아트나 팝아트의 영향 아래 기하학적 추상과 대중적 이미지를 담은 유전질을 선보이게 된다.

세 번째는 초기 묘법 시기다. 어린 아들의 서툰 글쓰기서 착안해 캔버스에 유백색 물감을 칠하고 연필로 수없이 선긋기를 반복한 1970년대 연필 묘법을 소개한다. 박서보는 이 시기 작가로서 독자적인 언어를 찾고자 했다. 동시대의 사회와 문화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였다.

현대인의 고통·번민 예술로 치유
묘법 연작을 통해 독보적 작품세계

전통을 담아내고 서구미술을 수용하면서도 단순히 모방하지 않는 작품을 구현하고자 했다. 연필 묘법 과정서 물성과 정신성, 그리고 작가의 행위가 합일에 이르게 되는 이 작업을 박서보는 수신의 도구라고 일컬었다.

네 번째는 중기 묘법 시기다. 1982년 닥종이를 재료로 사용하면서 한지의 물성을 극대화해 한지를 발라 마르기 전에 문지르거나 긁고 밀어붙이는 등의 행위를 반복해 지그재그 묘법이라고도 불린다.
 

▲ 비키니 스타일의 여인, 1968, 캔버스에 유채, 130x89cm, 개인 소장

무채색의 연필 묘법서 쑥과 담배 등을 우려낸 색을 활용해 색을 회복한 시기이기도 하다. 한지가 채 마르기 전에 완성해야 하는 이 시기 작업은 고된 방식으로 인해 점차 작가는 화면을 분할하는 방식서 나아가 후기 묘법으로 이행하게 된다.

다섯 번째는 후기 묘법 시기다. 색채 묘법이라고도 불리며 1990년대 중반 손의 흔적을 없애고 막대기나 자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일정한 간격으로 고랑처럼 파인 면들을 만들어 깊고 풍성한 색감이 강조된 대표작을 볼 수 있다.

자연이 그러하듯 예술이 흡인지처럼 현대인의 번민과 고통을 치유하는 도구가 돼야 한다는 박서보의 신념은 점차 중첩된 색면의 오묘함을 내포하면서 더욱 다채로워진다. 그의 신념은 2000년대 초반 단풍 절정기의 풍경을 경험한 후 더욱 확고해졌다.

작업에 대한 박서보의 끝없는 열의는 색채 묘법과 연필 묘법이 결합된 이번 전시를 위한 신작으로 이어진다. 박서보는 이번 전시서 미공개 작품 일부를 비롯해 신작 2점을 최초로 공개한다. 1970년대 전시 이후 선보인 적 없는 설치 작품 허의 공간도 소개한다.


신작 공개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박서보의 삶과 예술을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이번 전시는 한국적 추상을 발전시키며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에 큰 족적을 남긴 박서보의 미술사적 의의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jsjang@ilyosisa.co.kr>

 

[박서보는?]

1931년 경북 예천 출생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개인전

‘Park Seo-Bo Ecriture 1967-1976’ 화이트 큐브, 홍콩(2018)
‘Ecriture’
페로탕 갤러리, 뉴욕, 미국(2018)
‘Pursuit of Inner Self’ Art Issue Projects,
타이베이(2018)
‘ZIGZAG: Ecriture 1983-1992’
화이트큐브 갤러리, 런던(2017)
화이트 큐브 갤러리, 런던(2016)
페로탕 갤러리, 홍콩(2016)
‘Empty the Mind: The Art of Park Seo-Bo’
도쿄 갤러리, 도쿄(2016)
대전시립미술관, 대전(2015)
조현 화랑, 부산(2015)
페로탕 갤러리, 파리(2014)
대구미술관, 대구(2012)
국제갤러리, 서울(2010-2011)
박서보 한국 아방가르드의 선구자: 화업 60부산시립미술관, 부산(2010-2011)
외 다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