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희 칼럼> 기안84를 위한 변명

2019.05.20 10:37:01 호수 1219호

공중파 프로그램에 출연해 유명해진 기안84는 웹툰작가다. 필자는 기안84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복학왕>을 즐겨 본다. 그런데 최근 이 웹툰의 내용이 논란이 됐다. 청각장애인을 비하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청각장애인의 발음이 부정확한 것을 희화화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같은 지적은 다소 무리한 측면도 있다. 논란이 된 청각장애인 캐릭터는 상당히 긴 기간 해당 작품에 등장했는데, 장애가 있다고 차별적으로 묘사한 적은 없었다. 주인공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과 동일하게 김치가공공장서 일했고, 누군가를 좋아하고, 또 누군가의 사랑을 받는 모습이 그려졌다. 

청각장애를 이유로 남자친구의 부모에게 모진 대우를 받는 내용도 있었다. 현실을 바탕으로 객관적 시각서 표현됐다. 그녀의 발음이 부정확한 것도 청각장애인의 특징을 나타내려한 것이다. ‘웃기는’ 웹툰이지만 적어도 청각장애인의 발음을 웃음의 소재로 삼은 적은 없다.

후천적 청각장애인의 발음은 비장애인과 같다. 그러나 선천적 청각장애인은 타인의 말을 들어본 적이 없고 훈련을 통해 발성을 익히므로 발음이 부정확할 수 있다. 부정확한 발음이 청각장애인이 가질 수 있는 특징 중 하나라면 그것을 웹툰서 표현하지 못할 이유는 무엇인가? 

청각장애인 웹툰작가인 라일라는 “나의 장애는 개성일 뿐, 동정의 대상이 아닙니다”라고 했다. 청각장애인 스스로 장애는 개성이라고 하는 것은 납득이 되고, 장애가 없는 사람이 그 개성을 표현하면 희화화가 되는 것인지 묻고 싶다. 

만화는 작가의 상상력으로 그리는 것이다. 그 상상력 안에는 초현실적인 영웅도 있지만, 지극히 현실적인 모습의 장애인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영화서도 장애인이 등장할 때가 있고 당연히 작품 전반서 장애인이 가진 특성은 확연히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문제 삼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장애인 부부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달팽이의 별>에는 남편이 집에서 줄넘기를 하는 장면이 있다. 남편은 제자리 줄넘기를 하지만 보이지 않는 눈과 들리지 않는 귀 때문인지 자꾸 뒤로 간다. 아내가 다가와 웃으며 손등을 두드려 ‘뒤로 가는 달리기’라고 알려준다. 남편은 “뒤로 갔어? 난 제자리서 했는데”라며 웃는다. 

제작자는 이 장면서 관객들의 어떤 반응을 기대했을까? 감독이 밝힌 바에 따르면 관객들도 같이 웃기를 바랐다. 그렇다면 이것은 장애를 희화화한 것인가. 장애가 슬프고 불편한 것으로만 묘사되고 장애인이 도움을 받아야 될 존재로만 표현된다면 그것이 더 차별적인 것일 수 있다.

이번 논란은 만화를 영화, 연극, 드라마보다 낮게 평가하는 사회적 시선이 반영돼 일어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만화라는 매체를 통해 전달됐기 때문에 ‘희화화했다’는 평가를 받은 것은 아닌지 고민해볼 문제다. 과거부터 최근까지 우리 사회서 만화는 예술 장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장애인단체가 기안84에게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차별문제서 당사자들의 견해는 중요하다. 당사자가 불쾌히 여겼다면 그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 

물론 이 칼럼은 장애인 당사자들이 ‘논란이 된 웹툰 장면을 보고 차별이라 여겨서는 안 되고 불편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로 쓴 것은 아니다. 같은 사건을 보는 다른 시각을 제시해 웹툰작가의 입장도 헤아려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쓴 것이다. 다른 이의 입장을 헤아려봄으로써 자신도 위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는 작품 내용으로 비난받아 상처 입었을 기안84를 대신해 변명해주고, 달래주고 싶었다. 그의 작품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말이다. 때로는 너무나 비현실적이고 때로는 놀라울 정도로 날카롭게 현실을 풍자하는 기안84의 작품 세계가 나날이 발전하길 바란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