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100)몰락

2018.09.11 09:16:22 호수 1183호

보위를 넘기다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한편 백제의 의자왕은 계백의 백제군이 신라군에 전멸되었다는 소식을 접하자 은고를 찾아 술로 시름을 달래고 있었다. 

술이 들어가자 허망한 마음이 급격하게 일어났고 막 오석산을 먹으려는 시점에 태자 융이 대좌평 천복과 좌평 각가와 함께 들어섰다.

“전하, 조처를 강구하셔야 하옵니다.”

“조처라니?”

“당나라와 신라 군사들이 조만간 사비성을 함락시키기 위해 총공세를 펼칠 듯 보입니다.”


“그런데?”

계획 물거품

“당나라 군사만 없다면 수성하면서 그런대로 버틸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당나라 장수에게 글을 보내 철수해 달라 간청해보심이 타당하리라 사료됩니다.”

“효과가 있겠는가?”

“효과 여부를 떠나서 당나라의 경우 그다지 열의를 가지고 있지 않은 듯하니 한번 시도는 해봄이 옳습니다.”

“물론 선물도 함께 보내야지요.”

가만히 의자왕과 천복의 대화를 듣고 있던 태자가 대화에 끼어들었다. 순간 의자왕이 은고를 바라보았다. 

은고가 손에 들려 있는 오석산을 만지작거리고 있었다.

“태자가 알아서 처리하도록 하거라.”

짧게 말을 마친 의자왕이 이만 자리를 물리라는 손짓을 주었고 세 사람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태자 융이 각가에게 당나라의 소정방에게 보내는 글월을 작성하여 진귀한 음식들과 함께 아무도 모르게 전하도록 했다.

그 때문인지 다음 날 당나라와 신라군이 사비성을 진격하기로 예정되었는데 소정방이 움직이지 않았다.

유신이 급히 소정방을 찾았다.

“왜 움직이지 않는 게요.”

“오랫동안 배를 타서 그런지 몸이 편치 않구려.”

“그게 언제 일이라고.”

말을 하다 말고 소정방의 얼굴을 가만히 주시했다. 뭔가 트집 잡고자 함을 눈치 채고는 은근하게 다가섰다.

“대장군, 당에서 이곳까지 오시느라 힘드셨을 줄 압니다. 그런데 누추한 이곳에서 보내게 하였으니 그 심정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송구합니다. 그래서 지금 이 시간부터는 소장이 선봉에 서서 일처리 할 테니 부디 뒤에서라도 소장의 허물을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유신의 간곡한 말에 소정방이 은근하게 반응을 보였다.


“이걸 보시오.”

소정방이 백제에서 온 서신을 건넸다. 그를 살피던 유신이 소정방을 의식하며 길게 한숨을 쉬었다.

“혹시 간사한 저들의 술책에 미혹당하시지는 않겠지요?”

“워낙에 간청이 절절하기에.”

“어차피 잠시 후면 이곳뿐만 아니라 백제의 모든 게 대장군의 마음 여하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그렇지요?”

결국 거드름을 피우던 소정방이 유신의 설득에 따라 후군으로 천천히 소부리(所夫里, 부여) 벌판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 백제에서 여러 왕자들이 가축과 많은 음식을 가져왔으나 그를 거절하고 진군을 서둘렀다.

태자전에서 막 오석산의 환영에서 깨어날 무렵 다시 태자 융과 천복 그리고 각가가 찾아들었다.

소정방 포섭하려는 백제…김유신 재치로 물거품
의자왕, 은고와 웅진성으로 도망…신하들 한숨만

“어찌 되었느냐?”

물론 태자에게 일임했던 당나라 군의 회유에 관한 이야기였다. 의자왕의 다그침에 할 말을 잃었다는 듯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결국 아무런 소득이 없다는 말일세.”“송구하옵니다, 전하.”

천보가 고개 숙였다.

“지금 상황은 어떠냐?”

“바로 코앞까지 다가왔습니다.”

“벌써 말인가?”

심드렁하니 대하는 의자왕의 태도가 원망스러운지 어느 누구도 답하지 않았다. 그를 살피며 의자왕이 은고를 바라보며 곁으로 끌어당겼다.

“어찌하면 좋을지 의견을 제시해보도록 하거라.”

“아바마마, 방법이 없사옵니다.”

태자 융이 기어코 눈물을 보였다.

“그러면 항복해야 한다는 말이냐?”

모두가 답을 하지 않고 서로의 눈치를 살피는 사이 은고가 의자왕의 품에서 벗어나 정색했다.

“그리할 수는 없사옵니다, 전하.”

“말해보시오, 부인.”

“전하께서는 이 밤을 이용하여 웅진성(熊津城)으로 잠시 피하셔야 하옵니다.”

“그 후에는 어찌합니까?”

태자 융이 마땅치 않다는 표정을 지으며 소리를 높였다.

“지금 이 자리에서 임금의 자리를 태자에게 물려주고 웅진성으로 피신하면 저들은 이 선에서 일을 마무리 하고자 할 겁니다.”

“보위를 태자에게 물려주라고.”

“그런 경우라면 굳이 저들이 전하를 추격할 이유가 없습니다.”

의자왕이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는 회심의 미소를 지으며 태자를 바라보았다.

“태자의 의중은 어떠한고.”

“아바마마!”

융이 눈물을 쏟아내며 머리를 조아리자 천복과 각가 역시 급하게 머리를 조아렸다.

“역시 부인이오. 어찌 그런 생각을 해냈소?”

“가만히 생각해 보건데 이미 웅진성으로 도읍을 옮겼어야 했습니다. 우리의 뿌리는 곰에서 출발하였는데 그 사실을 까마득히 잊어버리고 있었지요.”

“오래전에 고구려의 침입을 받았을 때도 도읍을 웅진으로 옮기고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 암 그렇고말고.”

둘의 대화를 듣고 있는 융의 어깨가 들썩였다.

“태자는 지금 군대부인의 말씀을 받들도록 하거라. 짐은 지금 태자에게 임금의 자리를 넘기고 이 밤을 이용하여 잠시 웅진성으로 피신할 터이니 태자의 주도로 저들에게 항복을 청하도록 하라!”

“하면 저희들은 어찌할까요?”

대좌평 천복이 고개를 들었다.

“그대들은 새로 보위에 오른 임금 곁에 있어야지요. 웅진성으로는 그야말로 단출하게 움직일 것입니다. 그래야 저들의 의심에서 벗어날 수 있지요.”

“당연하고말고. 경들이 나와 함께 움직이면 저들이 반드시 의심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모든 일이 허사가 될 것이야. 그러니 보위에 오른 태자 곁에 머물도록 하라.”

얼토당토않은 명령에 할 말을 잃은 융과 신하들이 그저 어깨만 들썩일 뿐이었다. 

그를 살피던 의자왕이 다시 은고를 끌어당겨 힘을 다해 껴안았다.

“그리고 반드시 명심할 일이 있느니라.”

“무엇이옵니까?”

웅진성으로…

“신라가 아닌 당나라에 항복을 청해야 한다.”

“무슨 뜻이옵니까?”

“신라놈들에게 항복하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는 이야기니라.”

융이 가볍게 탄식을 터트렸다.

“당나라야 우리 백제가 상국으로 여겼었으니 여하한 경우라도 체면이 있어 해하지 못할 게야.”

은고가 살며시 품에서 벗어나 오석산을 가져오는 모습을 살피며 융과 신하들이 깊은 한숨을 내쉬며 물러났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