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34) 복귀

2017.05.22 10:35:09 호수 1115호

살아 돌아오긴 했는데…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선도해 역시 웃음을 흘렸다.

“그게 무슨 소립니까?”

뒤질세라 연정토가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지 않고서야 이 사람들이 어찌 삼천 명으로 감히 고구려를 치겠다고 함부로 떠들 수 있습니까?”

“그러니까 책사 말씀은 이놈들이 우리가 이미 김춘추를 석방하기로 결정한 사실을 알고 한번 허풍을 떨어보는 게 아니냐, 이 말이지요?”


“그렇지 않고서 가당키나 한 일입니까?”

“허허, 이거 참.”

석방된 춘추

“왜 그러시오, 막리지.”

“전하, 신라의 하는 짓이 하도 어이없어 그러하옵니다.”

“그것 참.”

선도해 역시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참 웃기는 놈들이군요. 백제 군사도 감당하지 못해 당나라와 우리에게 지원 요청하는 한심한 놈들이 감히 고구려를 치겠다고. 전하, 그리고 형님. 이참에 놈들이 정신 차리도록 확 쓸어버리지요.”

“허탈할 뿐이네.”

“허탈하다니요?”


“그것도 한 민족이라고 일시적으로나마 도와주어야 하는가 하는 생각을 가졌던 마음이 부끄럽다는 말이네.”

“막리지 대감,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전하, 꼴도 보기 싫으니 빨리 보내버리지요.”

“그리하도록 하시지요.”

보장왕이 승인을 표하자 연개소문이 바로 선도해에게 눈짓을 주었다. 선도해가 희미하게 미소를 머금고는 자리에서 일어났다.

궁에서 나온 선도해가 음식과 술을 장만하여 다시 춘추가 감금되어 있는 장소를 찾았다.

이미 석방 사실을 알고 있던 춘추 일행이 반가운 표정으로 선도해를 맞이했다.

“전하께서 그냥 보내기 섭섭하니 소홀하지 않게 접대하라는 명을 주셨습니다.”

“그러면 저희는 바로 석방 되는 겁니까?”


춘추 곁에 있던 훈신이 고조된 표정으로 입을 열었다.

“물론이지요. 허니 오늘은 전하께서 하사한 음식이나 들며 그간의 노고를 달래시지요.”

선도해의 말이 끝나자 음식이 차려지고 모두 둘러앉았다.

“이 모두 책사의 공입니다.”

“아니오. 이는 공의 직위와 신뢰 때문입니다.”

“무슨 말씀이신지?”

“경주로부터 연락이 왔습니다.”

“경주로부터요!”

“신라의 김유신 장군이 공이 돌아오지 않자 대규모로 군을 편성하여 고구려를 치려 한다는 보고였소.”

“김유신 장군이 말입니까?”

“그렇소. 신라 최고의 정예병들과 함께요.”

춘추의 얼굴에 화색이 돌았다.

죽다 살아난 춘추…군대 움직인 유신
거짓 서신 후폭풍…선덕여왕의 환대

“그런데 김유신 장군과 공은 어떤 사이입니까?”

“사사로이는 처남매부지간이고 공적으로는 긴밀한 동반자입니다.”

춘추가 의외로 순진했다.

애초 고구려에 온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건만 그저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사실에만 들떠 있는 듯했다.

하여 하지 않아도 되는 유신과의 관계에 대해 세세하게 곁들였다.

“후일 신라는 두 분 손에 움직이겠군요.”

“그 부분은 차마 말씀드리기 곤란합니다.”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여러 순배의 잔이 돌자 선도해가 춘추에게 은근히 다가갔다.

“무슨 일 있소?”

“돌아가는 길에 혹여 두사지를 만나면 죽는 날까지 항상 건강하게 살기 바란다고 전해주실 수 있겠습니까?”

“반드시 전해 드리리다.”

“보고 싶은 사람들은 보면서 살아야 할 텐데.”

선도해가 한숨을 쉬며 잔을 들자 춘추가 동조한다는 듯 잔을 들었다.

선도해의 배웅을 받고 헤어진 춘추가 오래지 않아 국경에 도달했다.

잠시 고구려 땅을 돌아보고 붓을 들어 서신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서신을 마무리한 춘추가 서찰을 접어 그곳까지 동행한 사람에게 선도해에게 전해줄 것을 요청했다.

‘나는 백제에 대한 유감을 풀고자 하여 군대를 청하러 왔다가 대왕께서 허락하지 않고 도리어 땅을 내놓으라고 요구하니 이는 신하인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얼마 전 대왕께 서신을 올린 일은 죽음에서 벗어나려는 뜻이었을 뿐입니다. 하오니 이 뜻을 왕과 막리지에게 전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신을 읽은 선도해가 씁쓰레한 미소를 머금고는 찢어버렸다.

김유신이 선덕여왕에게 출정보고를 마치고 막 경주를 벗어나려던 시점에 춘추 일행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병력 이동을 즉각 중단하고 잠시 감회에 젖어 길목에서 기다리는 중에 춘추가 다가오고 있었다.

가만히 그의 얼굴을 살펴보았다.

초췌한 표정에서 적지 않은 마음고생이 있었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고생 많았네.”

“면목 없습니다, 맨 손으로 돌아와서.”

“이렇게 살아 돌아온 것만으로도 만족하네.”

잠시 동안 그간의 회포를 푼 춘추가 김유신 뒤로 위풍당당하게 도열해 있는 병사들의 모습을 바라보았다.

“움직이려 하였군요.”

“막 진군하려던 중에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예서 기다리고 있었네.”

춘추가 세세하게 병사들의 모습을 살폈다.

“왜 그러는가?”

“갑자기 기발한 생각이 들어 그럽니다.”

“말해주겠는가?”

“이참에 처남께서 가려 뽑은 최정예 병사들로 처남의 부대를 만들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신이 춘추의 표정을 살피며 부대를 되뇌었다.

“말만이라도 고맙네.”

“그게 아닙니다, 처남. 어서 궁으로 들어갑시다.”

영문을 알 길 없는 유신이 춘추와 어깨를 나란히 하여 궁으로 들어갔다.

선덕여왕이 춘추를 구하기 위해 고구려로 진격하겠다고 나선 유신과 당사자인 춘추가 함께 들어서자 당황한 듯 잠시 멍하니 말을 잃고 있었다.

“송구하옵니다, 전하.”

“송구할 일이 무엇이오. 여하튼 고생 많았소.”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