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현대차그룹vs현대그룹 인수전 관전 포인트

2010.09.14 09:30:00 호수 0호

대우건설처럼 실패하지 않으려면… “경쟁력 있는 기업이 인수해야”


현대건설 채권단이 오는 24일 매각공고를 내는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매각 작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현재 현대건설 인수전에 참여의사를 밝혀온 것은 현대차그룹과 현대그룹. 매각공고 이후 또 다른 인수 희망자들이 나올 가능성도 있지만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과 현대그룹의 대결 구도가 펼쳐질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일단 그룹의 외형이나 실탄 측면에서 현대차그룹이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재무 평가항목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섣불리 결과를 예단할 수 없는 상태다. 다만 두 그룹이 마지막까지 피 터지는 싸움을 이어가리란 것만은 확실하다.


자금 동원력 ⇒ 현대차 4조6000억원, 현대 1조317억원
현대차그룹, 계열사 신용등급 높아 외부조달에 문제없어


외환은행(8.70%)·정책금융공사(7.90%)·우리은행(7.50%) 등 현대건설 지분 35%를 보유한 주요 3개 채권단은 오는 24일 매각공고를 내는 데 합의했다. 당초 9월 말이나 10월 초에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다소 앞당겨진 일정이다. 회계법인 실사 등의 절차가 생각보다 빨리 진행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10월 중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하고 후보군을 추린 후 인수자 실사 등을 거쳐 11월쯤 본입찰을 실시, 12월 말까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과 본계약 체결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지지부진 매각 일정
예정보다 앞당겨져



현재 현대건설 인수전에는 현대기아차그룹과 현대그룹이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현대그룹은 지난달 현대건설 인수 의사를 공식 발표했다. 도이체방크와 맥쿼리를 일찌감치 인수 자문사로 선정했고 각 계열사들은 인수전 준비에 한창이다. 현대차그룹은 골드만삭스와 계열 증권사인 HMC투자증권을 재무자문사로, 김앤장과 삼일회계법인을 법률과 회계자문사로 선정하며 물밑 작업에 착수했다.

매각 공고 시기가 앞당겨짐에 따라 조만간 공식 인수 선언이 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매각공고가 나간 후 또 다른 인수 희망자들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과 현대그룹의 대결 구도가 펼쳐질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채권단이 아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기준 등을 공개하지 않아 우세를 저울질하기는 이르다.

그러나 자금동원력만 놓고 본다면 현대차그룹이 앞서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이 당초 재계의 예상을 뒤엎고 독자 인수로 가닥을 잡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 인수를 위해 다른 형제 그룹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현대차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지난 6월말 기준 4조6000억원이 넘는 ‘실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그룹 재무구조개선 약정 둘러싼 마찰 걸림돌 될 것
현대차그룹 기아차 한보철강 등 대형 M&A 성공 플러스


현대모비스가 1조4363억원으로 가장 많고 ▲현대차 1조3170억원 ▲현대캐피탈 9159억원 ▲기아차 7850억원 ▲현대엠코 1827억원 등이 뒤를 따랐다. 현대건설의 예상 매각 가격이 3조~4조원 사이임을 감안하면 단독 인수에 큰 어려움이 없는 셈이다. 또 이들 계열사의 신용등급도 높아 외부조달에도 큰 무리가 없는 상황이다.

현대차와 현대캐피탈의 신용등급은 ‘AA+’, 기아차와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등은 한 단계 낮은 ‘AA’여서 언제든지 외부 자금조달에 나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그룹 3인방인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글로비스가 줄줄이 신고가를 경신하면서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낸 것을 비롯, 전 계열사의 실적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어 하반기 긍정적인 실적 전망까지 부각되면서 현대건설 인수 전선엔 파란불이 들어왔다.

이밖에도 과거 대형 M&A를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이 큰 이점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998년 기아차를 인수, 각고의 회생 노력 끝에 외환위기 주범에서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탈바꿈 시켰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04년 현대제철(전 한보철강)을 인수해 경제 위기 속에서도 과감한 투자를 감행한 끝에 국내 굴지의 제철회사로 성장시킬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현대건설 인수를 통해 현재 현대차그룹 계열 건설사인 현대엠코와의 시너지도 기대할 수 있다. 현대엠코 매출의 66%가 빌딩, 공장, 도로, 항만 등 공사부문에 치중돼있는 만큼 토목과 플랜트 분야에서 독보적인 현대건설과 합병한다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계산이다. 반면, 현대그룹은 약 1조원 규모의 현금성 자산을 확보한 상태다. 지난 6월말 기준, ▲현대상선 7312억원 ▲현대증권 1750억원 ▲현대엘리베이터 746억원 ▲현대로지엠 509억원 등 총 1조317억원을 내부에서 조달할 수 있다.

외형, 실탄 측면에서
현대차그룹이 앞서

하지만 현대그룹은 현대건설 매각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압박해온 외환은행과 이를 거부하면서 주거래은행 교체를 추진해온 현대그룹 간의 마찰이 바로 그것이다. 이 가운데 채권단은 지난 7월29일 대출 만기 연장을 중단하는 사상 초유의 압박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에 따라 현대그룹은 물론 전 계열사는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4000~5000억원 상당의 대출을 갚아야 하게 됐다.

현대그룹이 대출을 갚지 못 해 부도에 처할 위험은 적지만 현대건설 인수에 차질이 생기리란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벼랑 끝에 몰린 현대그룹은 외환은행에 대해 ‘결의효력정지가처분신청’을 내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 외환은행은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전 참여를 배제하지 않고 약정을 체결할 경우 경쟁에 차질을 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외환은행 측 관계자는 “법적 다툼과 현대건설 매각 건은 별개이고 절차가 엄연히 다르다”며 “현대그룹의 인수전 참여를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변수 작용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하지만 현실적으로 현대그룹이 약정을 맺을 경우 자산 매각과 부채비율 개선 등에 나서야 하기 때문에 현대건설 인수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된다. 또 외환은행은 현대그룹의 주채권은행 변경 요구에 대해서도 ‘어불성설’이란 입장을 취했다. 외환은행 측 관계자는 “현대그룹이 차입금을 모두 상환하면 외환은행에 주채권은행의 지위가 사라지는 것은 맞다”며 “하지만 주채권은행이 변경되더라도 재무 평가를 다시 받을 수 없고 최근 실적으로도 재무약정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처럼 그룹의 외형이나 실탄 측면에서 현대차그룹이 유리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비재무 평가항목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섣부른 판단은 금물인 상황이다. 문제는 우선협상대상자 평가기준이다. 채권단이 자금회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출 경우 인수가격에 가장 큰 배점을 둘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현대차가 유리해질 수 있다. 하지만 과거 도덕성 등 비계량적 요소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 사례가 있어 쉽게 예단하기 힘들다.

과거 대우조선해양이나 대우건설 인수전 때 도덕성을 비롯한 비계량적 요소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실제 2006년 대우건설 인수전 당시 모기업의 경우 도덕성 분야에서 감점이 예상되면서 입찰을 포기해야만 했다. 이점을 미뤄보면 현대차그룹의 경우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처벌을 받은 적이 있어 감점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현대차그룹 측 관계자는 “이미 사면을 받은 상황이어서 감점 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재무적 투자자 참여 여부도 변수로 작용될 전망이다. 현대그룹은 부족한 자금력을 보완하기 위해 재무적 투자자를 찾고 있다. 현대그룹이 자금동원력이 우수한 재무적 투자자를 찾는데 성공한다면 현대건설 인수전은 또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M&A는 언제나 뚜껑을 열어봐야 아는 일인 만큼 섣불리 판세를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부실기업 정상화는 국내 산업기반의 유지발전과 국가경제 발전의 관건이라는 점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현대건설의 주인이 되는 것이 마땅하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