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자화상

2010.04.20 09:35:40 호수 0호

부모 봉양에 자식 뒷바라지까지 “언제 편해지나”


‘낀 세대’ 베이비부머들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 전쟁 후 출산붐을 타고 태어나 고단한 인생역정을 겪었던 이들. 민주화과정과 IMF, 금융위기까지 견디고 은퇴를 코앞에 두고 있지만 여전히 이들의 삶은 버겁다. 늙은 부모 봉양에 결혼을 앞둔 자식들 뒷바라지까지 짊어진 짐은 여전히 무겁기 때문이다. 자신을 위한 노후준비는 아직도 까마득하기만 하다. 베이비부머의 애환을 들어봤다.


은퇴 러시 앞둔 베이비부머들의 고단한 인생
노후대책보다는 부모, 자식에 대한 책임감 커


“IMF 모진 바람 피하고 직장후배들에게 질기다는 소리까지 들으면서 버티다보니 어느새 퇴직할 나이가 됐습니다.” 몇 달 후면 30년 동안 다녔던 직장에서 은퇴해야 하는 김모(56)씨는 요즘 심란하기만 하다. 퇴임식 준비로 분주한 후배들을 보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을 만큼 불안하기도 하단다.

지긋지긋한 샐러리맨에서 벗어난다는 기쁨은 김씨에겐 사치일 뿐. 아직도 건사해야 할 가족들이 남아있는 탓이다. 치매에 걸린 어머니와 결혼을 앞둔 큰딸, 대학원에 다니는 둘째 아들, 중학생 늦둥이 아들까지 김씨로부터 경제적인 도움을 받아야 하는 가족들이 수두룩하다.

제2의 인생도 샐러리맨



가지고 있는 재산은 집 한 채와 직장생활동안 모아둔 약간의 자금, 퇴직금이 전부. 이 상황에서 몇 달 후면 고정 수입마저 끊길 처지라 한숨만 늘어난단다. 김씨는 “딸 혼수비용에 아들 대학원등록금까지 목돈 들어 갈 일이 줄을 지어있는데 이대로 직장을 나와 버리면 생활이나 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하다”며 “퇴직도 하기 전에 새 직장을 알아보라는 마누라 잔소리를 들을 때면 일하는 기계 인생이 도대체 언제 끝이 날지 태어난 게 원망스럽기도 하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앞날에 대한 걱정에 담배만 늘었다는 김씨는 결국 작은 중소기업 팀장자리를 맡아뒀다. 김씨가 다니던 기업으로부터 하청을 받아 일하는 회사다. 전 직장에 비하면 회사 규모도, 연봉도 비교할 수 없이 적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체면 때문에 가족들을 힘들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김씨는 “막둥이아들 대학교까지 보내고 나면 이 짐을 벗어버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며 “그때가 되면 내 나이가 70이 다 될 텐데 그때까지도 샐러리맨으로 일을 하면서 책임감을 떠안아야 한다는 것이 서글프다”고 한숨을 쉬었다. 베이비붐 세대의 애환을 고스란히 짊어지고 있는 김씨의 이야기는 이 시대 수많은 아버지들의 삶이기도 하다. 격동의 세월을 고스란히 겪어 온 이들에게 편안한 노후는 보장되지 않고 있다.

출산붐을 타고 태어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일생을 보냈지만 남은 것은 자식들 뒷바라지와 끝나지 않는 고단한 삶 뿐인 것. 베이비부머라 불리는 이들은 1955년부터 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다. 그 수만 712만명에 달한다. 한국 전쟁 이후의 가난과 고도성장으로 인한 풍요로움을 동시에 맛보며 성장한 이들 세대는 대한민국 현대사의 산증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재정권에 맞서 민주화를 이뤄내는데 젊은 날을 바쳤던 이들은 치열한 경쟁을 거쳐 취업을 하게 된다. 하지만 직장에서 전성기를 누려야 할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에 외환위기란 거대한 장벽을 만난다. 잘리지 않는 것이 지상과제가 된 것. 갖은 눈치와 괄시 속에서 살아남은 뒤에도 편한 날은 없었다. 아날로그 세대인 이들에게 세상은 디지털로 변화할 것을 요구했다.

적지 않은 나이에 새로운 기기와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이들에게 도전일 수 밖에 없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후배들에게 뒤처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노릇이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 또 한번의 위기가 닥쳤다. 글로벌 금융 위기가 그것. 전 세계에 불어 닥친 경제 한파는 이들이 버티기엔 너무나 매서웠다. IMF도 견뎌냈지만 50이 넘은 나이에 다시 만난 산은 너무 높고 가팔랐다.

잊고 지냈던 명퇴이야기도 다시 회자됐다. 칼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사표를 썼다는 친구들의 이야기도 간간이 들렸다. 이 모든 위기를 헤치고 꿋꿋이 살아남은 이들도 이젠 직장에서 떠날 때가 됐다. 본격적인 은퇴시기가 다가온 것이다. 2010년부터 베이비부머들은 하나둘씩 퇴직을 하게 된다. 기업들의 정년 연장 움직임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기도 했지만 언제 제도화될지는 미지수. 특히 정년을 코앞에 둔 이들에겐 해당사항이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렇다보니 베이비부머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사회문제로 비화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는 설문조사로 여실히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베이비부머들은 가정과 직장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가 매우 높았다. 심한 경우 자살충동까지 느낄 정도였다. 노후준비도 그리 탄탄하지 못했다. 국민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이들이 태반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2008~2009년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에서 나타난 결과다.

먼저 이들은 가족 부양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가 자녀에게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지원을 해야 하는가’를 질문한 결과 베이비부머의 99.1%가 ‘자녀의 대학교육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90.0%가 ‘자녀 결혼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 부모 중 한 분이라도 생존해 있는 경우가 68.5%에 달해 부모 봉양의 책임까지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정, 직장 스트레스 이중고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도 높았다. 15세 이상 인구의 60.4%가 스트레스를 느끼는데 비해 베이비부머의 65.2%가 일상생활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심지어 지난 1년 동안 한 번이라도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는 경우도 7.1%를 차지했다. 자살하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52.8%)’이 가장 많았으며, ‘가정불화(18.0%)’ ‘외로움·고독(10.6%)’ 순이었다.

체계적으로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는 적었다. 80%가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노후 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을 꼽은 이들이 38.5%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예금·적금(24.3%), 사적연금(19.5%), 기타 공적연금(7.1%) 순이었다. 10명 가운데 2명꼴로 노후대비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고 이 중 50.3%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