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특집> ④진화하는 세뱃돈

2018.02.12 11:35:34 호수 1153호

아직도 현금으로 주십니까?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민족대명절 설이 다가왔다. 설에는 온 가족이 둘러 앉아 이야기를 나누며 한 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한다. 웃어른께 세배로 문안인사도 드린다. 어른들은 아랫사람에게 세뱃돈과 함께 덕담을 건넨다. 경기불황과 취업난이 사회를 덮치고 있지만 세뱃돈 인심만큼은 아직 훈훈함이 남아있다.
 



경기 불황이 지속되고 실업률이 치솟으면서 해가 거듭될수록 명절 분위기는 잦아드는 추세다. 명절에는 고향을 찾아 부모님께 인사드리고 가족끼리 떡국 한 그릇을 함께 먹어야 한다는 생각 역시 조금씩 옅어지고 있다.

특히 아직 취업을 못한 취업준비생들은 명절에 고향을 찾기 보다는 혼자 보내는 쪽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설을 혼자 보내는 혼설족, 추석을 혼자 보내는 혼추족 같은 명절에 아무 데도 가지 않고 홀로 시간을 보내는 혼명족이 늘고 있다.

달라진 풍속도

그럼에도 설이 다가오면 은행부터 각종 쇼핑몰까지 정신없이 바빠진다. 부모나 친척에게 새해 선물로 무엇이 좋을지 묻는 질문도 줄을 잇는다. 백화점 등은 명절 특수를 누리기 위해 각종 선물세트로 소비자의 관심을 끈다. 덩달아 세뱃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설날 아침 차례를 지내고 나면 가족들은 삼삼오오 모여 앉아 이야기를 나눈다. 웃어른들이 나란히 앉으면 설빔을 곱게 차려 입은 아이들도 늘어서서 세배를 한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말과 함께 절을 하면 웃어른들은 덕담을 건네며 품에서 봉투를 꺼낸다.


국어사전 속 세뱃돈의 뜻은 세뱃값으로 주는 돈이다. 세배는 웃어른께 섣달그믐이나 정초에 절로 하는 문안인사이니, 세뱃돈은 이른바 절값이다. 

역사학자들은 세뱃돈의 유래를 중국서 찾고 있다. 중국은 송나라 때부터 정월 초하루, 즉 음력 1월1일이 되면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나쁜 일을 물리치는 돈’이라는 의미로 덕담과 함께 붉은 봉투에 돈을 넣어줬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 말기 문신 최영년이 1925년 낸 시집 <해동죽지>에 ‘세배갑’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옛 풍속에 설날 아침이면 어린아이들이 새 옷을 입고 새 주머니를 차고 친척과 어른들께 세배를 드린다. 그러면 어른들이 각각 돈을 주니 이를 ‘세배갑’이라 한다.” 

옛 풍속이라 표현한 것을 보면 적어도 1925년 이전부터 세뱃돈 문화가 있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처음 세뱃돈 풍습이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땐 돈 대신 음식이나 떡을 싸줬었다고 한다. 18세기 정조 때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경도잡지>에 따르면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들은 설날에 어린 여자 노비를 대신 일가친척에게 보냈다. 

문안을 받은 집에선 반드시 어린 노비에게 세배상을 차려주거나 차비로 돈을 주는 문안비 풍속을 따랐다.

중국서 유래…떡·음식 주다가 돈으로
떠오르는 모바일 상품권·기프트카드

경제가 발전하고 점차 삶이 풍족해지면서 현금으로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널리 퍼졌다. 그러면서 설 언저리가 되면 은행서 신권을 바꾸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세뱃돈은 새 돈으로 줘야 한다는 인식 때문이다. 이 때문에 명절이 되면 은행은 신권을 준비하느라, 사람들은 신권을 찾느라 한바탕 전쟁이 벌어진다.

매년 설마다 신권을 찾는 사람들로 은행 창구 앞이 북적이자 한국은행은 ‘신권 안 쓰기 캠페인’까지 벌이고 있다. 불필요한 화폐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해 세뱃돈을 위한 신권 수요분을 줄이자는 취지다. 


그만큼 세뱃돈은 ‘새 돈’으로 줘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셈이다.

하지만 세대가 바뀌고 사회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굳이 세뱃돈으로 현금을 고집하지 않는 수요가 조금씩 생기고 있다. 도서상품권이나 문화상품권 같은 현물은 모바일로 대체되는 추세다. 

모바일 상품권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버튼 몇 번만 조작하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현금을 직접 주는 것보다 부담이 덜하면서도 간편하다.

현금을 주더라도 어플을 이용해 ‘쏴주는’ 모바일 송금도 방식도 인기가 높다. 은행서 내놓은 특정 어플을 활용해 계좌번호 없이 휴대전화 번호만으로 세뱃돈을 송금할 수 있다. 연하장 기능도 있어 덕담도 함께 전달 가능하다.

외화 세뱃돈 세트도 한때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다. 행운의 상징인 2달러 미화를 포함, 유로화·중국 위안화·캐나다 달러·호주 달러 등 5개국 통화를 신권으로 구성했다.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각국의 다양한 화폐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취지로 제작됐다. 당시 선착순 한정 판매로 내놓은 1만5000세트는 순식간에 매진됐다.

아이 앞으로 펀드나 예금 계좌를 만들어 세뱃돈으로 주는 일도 심심찮다. 세뱃돈으로 많은 현금을 받은 아이들이 당장 군것질에 돈을 소비하지 않게 펀드 계좌 등을 만들어 대학등록금이나 결혼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이 때문에 설이 되면 은행마다 펀드 상품을 내놓고 홍보에 돌입한다.

현금을 충전해 체크카드처럼 사용하는 기프트카드 역시 꾸준하게 인기가 높은 세뱃돈이다. 커피를 자주 마시는 사람에게는 카페서 만든 기프트카드를, 생필품 등 소매용품 구매가 많은 사람에게는 마트서 내놓은 기프트카드 등 사용하는 사람에 맞게 선물할 수 있다. 


기프트카드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디자인도 다양화돼 받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준다는 평이다.

최근 광풍이라 할 만큼 인기를 누린 가상화폐가 새로운 세뱃돈으로 등장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실제 베트남에서는 ‘뗏’이라 불리는 베트남 최대 명절인 설을 앞두고 비트코인 기념주화를 판매하고 있다. 기념주화는 새로운 세뱃돈으로 주목받아 판매량이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트코인도?

2014년 홍콩에서는 비트코인 7000만원 상당을 거리서 세뱃돈으로 나눠주는 행사를 벌이기도 했다. 지금과 같은 가상화폐 광풍이 불기 전 이야기다. 당시 홍콩 최대 비트코인 거래소인 에이엔엑스는 국제금융센터와 센트럴 등 주요 명소서 10홍콩달러(약 1400원) 상당의 비트코인 쿠폰이 든 빨간색 봉투 3만장을 행인들에게 나눠줬다.
 

<jsj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설’ 직장인 지갑 사정

구인구직 사이트 사람인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설 명절 기간 1인당 평균 44만원을 지출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출 액수는 결혼 여부에 따라 달라졌다. 

기혼은 평균 62만원, 미혼은 35만원으로 기혼자의 지출 액수가 1.8배가량 더 많았다.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으로는 부모님 용돈 및 선물이 66.9%로 1위를 차지했고, 식비(8.3%), 세뱃돈(5.5%), 친척 선물(3.4%) 등의 순이었다. 

세뱃돈을 주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71.2%에 달했고, 이들은 평균 19만원을 세뱃돈으로 지출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1인당 세뱃돈 액수는 5만원으로 집계됐다. <선>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