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산 신화’ 신선호 기사회생 풀스토리

2011.05.20 20:33:23 호수 0호

쫄딱 망한 줄 알았는데…수백억 주물럭

재계에 ‘신선호’란 이름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 쫄딱 망한 줄 알았던 신씨가 국내 내로라하는 재벌들과 함께 부자 순위에 재입성하면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1970년대 ‘율산 신화’의 주역인 그는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 재계에 혜성처럼 나타나 홀연히 사라진 신씨의 기사회생 스토리를 담아봤다.



올 처음 229억원 배당…재벌대열 재입성 
‘율산 신화’ 몰락 33년 만에 화려한 부활

재계 정보사이트 <재벌닷컴>은 1688개 비상장사들의 현금배당(중간배당 포함)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최고 배당을 받은 주주는 삼성코닝 지분 7.32%를 가진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이다. 홍 회장은 배당금으로 2464억원을 받았다. 상장사와 비상장사를 통틀어 국내 기업 사상 최고액이다. 박의근 보나에스 대표와 정몽석 현대종합금속 회장은 각각 590억원, 560억원을 배당으로 챙겼다.

석연찮은 부도·구속

비상장사 ‘슈퍼 배당부자’ 순위에서 유독 눈에 띄는 인물이 있다. 바로 신선호씨다. 센트럴시티 회장인 신씨는 센트럴시티로부터 229억원의 배당금을 받았다. 순위로 따지면 4위다. 구본무 LG그룹 회장(187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156억원),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181억원), 장평순 교원그룹 회장(123억원), 허영인 SPC그룹 회장(116억원), 허정수 GS네오텍 회장(103억원) 등 국내 내로라하는 재벌들보다 두둑이 챙겼다.

센트럴시티는 최근 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 회사 지분 38.1%를 보유한 신씨에게 229억원을 지급했다. 센트럴시티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복합점포인 ‘센트럴시티’를 운영하는 주체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JW메리어트호텔 등이 입주해 있다.

신씨가 주목받는 이유는 1970년대 ‘율산 신화’의 주인공이란 점에서다. 재계에 혜성처럼 나타나 돌풍을 일으켰지만, 갑자기 홀연히 사라진 이후 두문불출해오다 이번 부자 대열에 재입성하면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광주서중, 경기고를 졸업한 신씨는 28세이던 1975년 고교 동문들과 함께 100만원의 자본금으로 율산실업을 세웠다. 율산은 불과 4년 만에 14개 계열사를 거느린 대기업이 됐다. 중동 산유국들을 상대로 한 시멘트 수출로 사업을 시작해 건설, 의류, 전자 등으로 영역을 넓혔다. 중동에서 시멘트를 하역할 항구를 구하지 못하자 납기를 맞추려고 군용 상륙함까지 동원했다는 일화는 아직도 재계에 회자될 정도로 유명하다.

율산은 설립 첫해 340만달러, 1976년 4300만달러, 1977년 1억6500만달러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설립 3년 만에 30배의 수출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다. 1978년엔 삼성, 현대, 대우 등에 이어 종합상사로 지정받는 쾌거를 이뤘다. 당시 율산의 자본금은 1000억원, 종업원은 8000명에 달했다.

재계의 ‘무서운 아이들’로 불린 율산 주역들의 리더가 신씨였다. 신씨는 율산의 급성장과 함께 신흥 재벌로 급부상했다.

그러나 성공은 거기까지 였다. 율산은 순식간에 침몰했다. 1978년 정부의 ‘8·8 투기억제조치’로 수출 길이 막히자 심각한 자금난을 겪다 결국 부도를 내고 해체됐다. 신씨도 고초를 겪었다. 그는 1979년 외화도피, 공금횡령, 뇌물공여 등 혐의로 검찰에 구속됐다. 이 재판에서 무죄선고를 받았지만, 이미 율산은 무너진 뒤였다.

이 과정에서 정치권 개입설이 돌았다. 신씨가 호남 출신인 탓에 타깃이 됐다는 소문이었다. 실제 3공화국 시절 호남 기업인이 운영하는 회사가 석연치 않게 망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또 다른 의혹은 청와대 지시설이다. 신씨는 부도와 구속 전 괴청년들에게 납치됐다 가까스로 탈출한 사건을 당했는데, 당시 기자들과 만나 피랍 사실을 알리면서 “괴청년들이 청와대 비서실을 사칭했다”고 밝혔다. 이 내용은 각 신문에 대서특필됐고, 이를 본 청와대는 대노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이 사건 직후 율산은 공중분해됐고, 신씨는 쇠고랑을 찼다. 신씨의 형제들도 보안사 서빙고분실로 연행돼 조사를 받는 등 곤욕을 치렀다.

신씨는 이렇게 재계에서 완전히 잊히는 듯 했다. 외부 발길을 끊은 채 종적을 감췄던 그가 모습을 드러낸 것은 20년이 흐른 뒤였다. 신씨는 2000년 서울 반포 호남선 부지에 세운 센트럴시티 메리어트호텔 개관식에 나타났다. 세간의 이목은 그의 재기 여부에 집중됐다.

당시 신씨는 센트럴시티 지분 99%를 보유했었다. 신씨는 율산 부도 때 채권단 소유의 부동산을 모두 매각했으나, 센트럴시티 부지는 법적으로 처분이 불가능해 가질 수 있었다. 이게 발판이 됐던 셈이다. 이 부지는 1976년 서울시가 율산에 매각하면서 “고속버스터미널 완공시 소유권이전 등기를 필해주겠다”며 제3자 양도를 원천 금지해 놓은 땅이었다.

센트럴시티로 재기

신씨는 구속됐다 풀려난 후 센트럴시티의 전신인 서울종합터미널 회장으로 있으면서 1만8000여평 부지에 센트럴시티 건설을 추진했다. 오픈 1년 만에 영업부진 등의 이유로 보유 지분과 경영권을 넘겨줬지만, 2004년 다시 경영권을 되찾았고 2006년 호텔, 백화점 등이 들어서면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센트럴시티는 지난해 매출 1124억원, 영업이익 533억원, 순이익 373억원을 올렸다. 이를 토대로 올해 처음으로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했다. 229억원을 배당받은 신씨로선 33년 우여곡절 끝에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한 감격스런 날이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