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저축은행 블랙리스트 10 대공개

2011.02.22 10:04:45 호수 0호

주저앉은 제2금융권 “내 돈은 무사한가?!”


지난달 삼화상호저축은행에 한파가 몰아닥쳤다. 부실로 인해 금융당국으로부터 영업정지를 당한 것. 이는 곧 인출 사태로 이어졌고 삼화는 폭주하는 예금인출 문의에 진땀을 빼야했다. 당시 저축은행권 분위기는 그 어느 때보다 냉랭했다. 하지만 얼어붙은 손발을 채 녹이기도 전, 저축은행권은 다시 불어 닥친 칼바람에 옷깃을 여미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공시를 통해 저축은행권의 부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때문이다.

26개 저축은행 지난해 상반기 순이익 3854억 적자
대부분 저축은행의 PF대출 건전성 악화되는 추세

최근 저축은행업계 및 금융당국에 따르면 주요 26개 저축은행의 2010회계연도 상반기(2010년 7~12월) 순이익은 3854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에 비해 조금이라도 개선된 곳은 6곳에 불과했다.

전년 동기 대비
대선된 곳 6곳

부산저축은행의 경우 2009회계연도 상반기(2009년7~12월)에는 321억원의 영업 이익을 냈으나 2010 회계 연도 상반기에는 1105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부산2도 같은 기간 110억원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해 손실 규모가 588억원에 달했다. 또 프라임은 2000만원 흑자에서 382억원 적자로, 더블유는 22억원 흑자에서 228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이밖에 신민과 진흥이 4억원 흑자에서 48억 적자로, 75억 흑자에서 22억 적자로 각각 전환했다.

적자폭이 늘어난 곳도 적지 않다. 솔로몬은 2009 회계 연도 상반기 영업 손실액이 35억원에 그쳤으나 2010 회계 연도 상반기에는 365억원으로 늘었다. 한국도 같은 기간 적자 규모가 25억원에서 346억원으로 크게 증가했고, 서울도 손실액이 83억원에서 252억원으로 늘었다. 또 대영은 63억원에서 198억원으로 적자폭이 확대됐다.

이처럼 저축은행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는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6월 구조조정기금 등을 통해 3조8000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실 PF대출을 매입했다.

당시 정부 측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건설사 구조조정 등으로 저축은행 PF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했다”며 “저축은행에 대한 시장불안 해소, 건설사 구조조정 시 부실 PF사업장 추가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해 부실화 우려가 있는 PF대출을 선제적으로 최대한 처리하게 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PF대출 채권 매각으로 저축은행의 경영건전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정부의 기대와 달리 저축은행의 PF대출 건전성은 전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부산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PF대출 중 고정이하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난해 6월 말 3.08%에서 7.18%로 증가했다. PF 대출 잔액이 2조3568억원임을 감안하면 약 1692억원이 PF대출 부실채권인 셈이다. 부산2의 고정이하대출비율 역시 같은 기간 2.11%에서 5.58%로 늘어났으며,  PF 대금 잔액과 부실채권은 각각 1조2497억원, 697억원씩이다. 솔로몬의 고정이하비율도 14.03%로 지난해 6월 말 11.85%보다 더 늘었다. 솔로몬의 PF 대출 잔액은 8042억원으로 1123억원이 부실채권이다.

프라임도 같은 기간 고정이하비율이 1.40%에서 4.17%로 증가했으며 대출 잔액은 2086억원, 부실채권은 66억원을 기록했다. 한국 역시 2.10%에서 9.20%로 늘어나면서 부실채권 244억원을 떠안았다.


이 밖에 대영과 신민은 지난해 6월 말 0%였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2월 말 각각 16.27%와 8.22%까지 치솟았고, 진흥은 8.59%에서 10.82%까지 상승했다. 특히 더블유의 경우 고정이하여신이 32.17%에 달하는 등 대부분 저축은행의 PF대출 건전성이 악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PF 대출 연체율도 늘어났다. 부산의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9월 말 1.74%에서 12월 말 35.14%로 상승했다. 부산2도 같은 시기 3.97%에서 43.85% 치솟았다. 솔로몬의 연체율도 21.01%로 지난해 9월 말의 12.90%에 비해 8.11% 높아졌으며, 한국도 2.10%에서 15.40%로 올라갔다. 이밖에 신민이 12.52%에서 32.42%로, 진흥이 7.48%에서 22.19%로 각각 증가했다.



PF 대출 연체율
전반적으로 상승

자본 건전성도 개선되지 못했다. 유상증자와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26개 저축은행 모두 적기시정조치 기준인 BIS 비율 5%는 넘겼지만 대부분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하락했다.

부산의 경우 BIS 비율이 지난해 6월 말 8.31%에서 지난해말 5.13%로 떨어졌고, 부산2도 8.83%에서 6.00%로 내려갔다. 프라임과 대영도 같은 기간 7.80%에서 5.25%로, 7.30%에서 6.31%로 각각 하락했으며, 대영은 9.01%에서 6.02%로 떨어졌다. 특히 부산, 부산2, 프라임, 대영, 서울의 경우, 금융당국이 은행들에 권고한 BIS 비율인 8%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문제는 저축은행의 실적이 크게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 저축은행의 부실정리 노력에도 은행 수익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무수익여신비율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부산의 경우 12월 말 기준 무수익여신비율은 17.49%로 6월 말 14.22%보다 상승했고, 한국도 7.33%에서 7.39%로 올랐다. 대영와 더블유의 무수익여신비율도 10.77%, 5.58%에서 14.93%, 7.48%로 각각 증가했다.

PF대출 중 고정이하대출 비율 상승…부실채권 양산
저축은행의 실적이 크게 개선될 기미 보이지 않아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축은행권의 관심은 삼화에 이어 추가로 영업정지를 받는 곳이 나올지 여부에 집중됐다. 금융당국은 당초 “삼화저축은행 외에 영업정지를 받는 곳은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저축은행권은 좀처럼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다. 조만간 금융당국이 ‘2차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설이 나돈 데 따른 것이다. 그리고 이 설은 곧 현실이 됐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17일 부산상호저축은행과 대전상호저축은행에게 영업정지 조치를 내린 것.


이와 관련, 금융위 측 관계자는 “대전저축은행의 경우 지속적인 예금 인출로 인해 유동성이 부족하여 예금자의 인출 요구에 응할 수 없는 상황이며 부산저축은행은 자체 보고한 2010년 12월 말 기준 자기자본이 216억원으로 완전 잠식됐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달 말까지 모든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결산 실적을 바탕으로 구조조정 작업을 가속화할 방침을 밝혔다.
금융당국은 일단 저축은행업계의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해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과 시중은행 및 정책금융공사를 통한 신용공여(크레디트라인)를 활용할 방침이다. 예보기금 공동계정을 통해 10조원을 마련하고 신용공여를 통해 총 3조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지난해 정부가 마련한 공적자금인 구조조정기금 5조원도 이달 임시국회에서 통과되면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이용될 수 있다.

또 저축은행중앙회는 시중은행 및 정책금융공사에서 각각 2조원 및 1조원의 신용공여를 지원받아 예금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축은행에 건물 및 대출채권을 담보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직까지는 유동성 지원을 요청한 곳은 없지만 예금 이탈이 가속화될 경우를 대비해 자금을 확보해 놓으려는 심산이다.

금융당국 구조조정
자금 20조 조성

여기에 저축은행중앙회가 보유하고 있는 예치금 중 2조원 가량을 유동성 지원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해 총 20조원의 자금이 갖춰지는 셈이다. 물론 이 자금이 모두 투입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자금을 재빨리 지원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놓는 것이다.

한편, 저축은행업계는 시장의 불안감을 잠재우기 위해 애쓰고 있다. 지난 15일 저축은행중앙회와 서울 소재 저축은행장들이 함께 모여 업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가장 시급한 문제인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 문제의 국회 처리를 위해 힘쓰고 예금 이탈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