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요즘은 명함식이 잘나가요" 몰카 판매점 가보니…

“말만 하세요, 렌즈 심어드릴게∼”

[일요시사 취재1팀] 차철우 기자 = 한국 사회서 몰래 카메라(이하 몰카)를 활용한 불법 촬영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다. 누구나 쉽게 몰카 구매가 가능한 것도 해당 범죄가 근절되지 않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최근 <일요시사>는 용산전자상가 몰카 판매점을 직접 다녀왔다.

용산역 3번 출구로 나와 연결된 다리를 건넌 뒤, 주차장을 지나면 나진상가 13동으로 바로 이어진다. 오래된 건물의 정면에는 입구를 가리키는 화살표와 함께 노란 바탕에 빨간 글씨로 몰래 카메라(이하 몰카)라는 글자가 적혀있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필요한 게 무엇이냐”는 질문이 날아다.

제작도 가능

매장 관계자들은 서로 자기 매장으로 오라고 손짓했다. 각 매장에는 수많은 장비들이 투명한 진열대에 전시돼있었는데 녹음기부터 시작해 디지털 카메라 렌즈, 위치 추적기 등의 물품들도 눈에 띄었다. 

몰카라는 큼직한 글씨가 쓰여 있는 매장 안으로 들어가 “몰카를 찾고 있다”고 하자 즉시 “잠깐 앉아서 이야기하자”며 자리를 권했다.

매장 관계자는 몰카를 구매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그는 절대 걸리지 않는다는 점을 어필하면서 몇 가지 제품을 진열대에서 꺼내더니 “요즘 잘나가는 제품들”이라고 소개했다.


진열대 속의 안경 몰카, 시계 몰카 등의 가격을 묻자 “비싸기만 하고 너무 많이 알려진 구식”이라며 ‘USB 몰카’와 ‘명함 몰카’를 꺼내 보여줬다. 직접 책 사이에 명함 몰카를 끼우는 방식이라며 시범까지 보여줬다. 

해당 몰카들을 추천한 이유를 묻자 차 키 몰카의 경우 최근 많이 알려진 탓에 고객들이 잘 찾지 않는다는 답이 돌아왔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을 권유하고 있다는 것. 또 최근 고객들의 구매 추세는 미처 몰카라고 상상하지 못한 물건들을 선호하는 편이라고도 했다. 

렌즈의 위치도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알 수 없을 정도로 작았다. 가격대는 10만원부터 비싼 물건은 100만원 수준이라고 했다. 매장 관계자는 “국내 제작은 단가가 비싸 중국에서 들여오는 추세지만 중국 제품도 국내 제작 몰카와 퀄리티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여러 매장을 돌아다니며 가장 많이 추천받은 몰카는 렌즈 회전이 가능한 USB 몰카였다. 기존 몰카들은 렌즈가 고정돼 화각이 제한적이지만, 해당 제품은 렌즈를 돌려 원하는 구도로 찍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매장에서는 ‘화재경보기 몰카’를 추천했다. 이리저리 살펴봐도 실제 화재경보기와 별반 다를 게 없었다. 마찬가지로 구매 사유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매장 관계자는 “천장에 다는 몰카고 대놓고 드러내기 때문에 오히려 몰카라고 상상도 못한다”고 추천 이유를 말했다.

더 작은 몰카를 보여 달라고 요구하자 이번엔 건너편 가게에서 TV 영상으로 원하는 모델을 골라 보라며 다양한 종류의 몰카를 보여줬다. 이 관계자는 판매 중인 몰카 종류만 해도 100가지가 넘는데 그중에서 작은 제품을 골라주겠다며 ‘단추 몰카’ ‘주사위 몰카’ 등을 권했다.


가격 따라 크기·모양 다양하게 판매
손가락 마디만한 초소형…맞춤형 제작

카탈로그에 상세한 제품에 대한 설명이 적혀 있으니 참고하라며 해당 몰카에 대한 설명을 이어나갔다. 

카탈로그에는 몰카의 화질과 사진촬영 기능, 단독 녹음도 가능하다는 내용이 기재돼있었다. 또 적외선 기능, 동작 시간, 동작 감지 등 몰카 스펙도 자세하게 나열됐다. 

심지어 파손을 제외하고 고장 시 A/S를 진행하고 있어 수리도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카탈로그에 소개되지 않은 다른 몰카는 없느냐는 질문에 판매 관계자는 즉시 매장 구석으로 다가갔다. 

이후 구석에 숨겨진 조그만 박스 2개를 꺼내 보여줬는데 상자 속에는 초소형 렌즈와 배터리가 연결된 초소형 카메라 칩이 들어있었다. 

언뜻 보기에도 해당 칩들은 작은 크기였다. 2개 중 좀 더 큰 칩은 명함, 보조 배터리 몰카 등에 들어가는 칩으로 배터리가 더 커 시간이 더 오래 간다고 설명했다. 뒤이어 보여준 칩은 엄지손가락 한 마디만큼 작은 사이즈의 칩이었다.

그러면서 몰래 카메라로 활용을 원하는 물건이 있냐고 물었다. 무슨 뜻인지 매장 관계자에게 묻자, 디자인이나 크기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종종 고객들이 원하는 물건에 칩을 넣어 활용하는 걸 추천한다는 답이 돌아왔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칩을 넣을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무엇이든 몰카로 만들 수 있다. 만약 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칩을 구매하면 제작 과정도 알려주겠다고도 했다.

매장 관계자는 “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칩은 30만원에 구입이 가능하다”고 귀띔했다. 선뜻 구매를 결정하지 않자 “몰카 구입은 불법이 아니다”라며 지속적으로 구매를 유도했다. 현금 구매 시 가격을 깎아주겠다며 흥정도 했다. 

물론 몰카 구입 자체가 불법은 아니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구매가 가능하다. 문제는 몰래 불법적으로 타인의 신체를 찍는 데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소형화되는 등 제작 기술의 발달로 불법 촬영 등의 범죄를 저질러도 적발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는 카메라나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를 소유한 자가 이를 활용해 상대의 신체를 찍을 경우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몰카 범죄를 국가 차원에서 나서 대대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사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지난 3월2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변형 카메라의 관리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지만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다. 

처벌 약해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가 지난달 발표한 한국 디지털성범죄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디지털성범죄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이해가 결여돼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승재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반 카메라로도 분류되는 초소형 카메라를 정부가 일괄적으로 관리한다면 법에 저촉될 소지가 있다”며 “불법 촬영물 관련 범죄에 대한 형량이나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