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보장’ 두원그룹 내부거래 오해와 진실

2019.10.28 10:24:44 호수 1242호

밀어주고 당겨주고…오너 남매의 짬짜미

[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두원그룹은 자동차 부품 제조사이자 두원공과대학교로 유명한 곳이다. 창업주의 세 남매는 현재 주력 계열사 지분을 쥐고 있다. 이 중 한 곳의 계열사가 내부거래와 배당금으로 눈길을 끈다. 그룹 측은 오해가 있다고 설명한다. 왜일까?
 



두원그룹은 중견 자동차 부품 제조사다. 창업주는 고 김찬두 회장. 김 회장은 14대 국회의원 출신으로 국내 자동차 산업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두원공과대학교와 안성두원공업고등학교를 설립, 기술인재 양성에도 힘썼던 그는 지난 2011년 별세했다.

자동차 산업
계열사 납품

김 회장은 슬하에 2남1녀를 뒀다. 장남은 김종엄 두원공과대 이사장이다. 차남은 김종완 두원전자 대표, 장녀는 김나영 ㈜두원 대표다.

그룹은 국내외 계열사들을 두루 거느리고 있다. 주력사는 ▲두원공조 ▲두원냉기 ▲두원전자 ▲두원중공업 정도로 분류된다. 업체들은 자동차 부품 제조와 판매 등을 도맡고 있다. 주력사들의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합은 1조원을 넘는다. 그 중 두원공조가 5600억원으로 절반을 차지한다.

김 회장 자녀들은 모두 해당 관계사의 최대주주다. 두원공조서 장남과 차남의 지분은 70%를 상회한다. 두원냉기에선 세 남매가 100% 가까운 지분을 쥐고 있다. 두원전자와 두원중공업 역시 세 남매가 70% 넘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눈길이 가는 곳은 두원전자다. 두원전자의 매출처는 그룹 관계사다. 내부거래 비중은 100%에 가깝다.

두원전자의 최대주주는 ㈜두원(31.72%)이다. 그 뒤를 김 이사장(27.77%)과 김 대표(27.77%), 장녀 김 대표(12.74%)가 잇고 있다.

중견 차량부품 제조…학교 설립도
창업주 별세 후 삼남매 그룹 지배

최대주주 ㈜두원에서 두원냉기(38.00%)와 두원전자(13.00%)가 절반 넘는 지분을 갖고 있다. 다시 세 남매는 두원냉기서 100% 가까운 지분을, 두원전자서 70% 넘는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사실상 ㈜두원도 세 남매의 영향력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분석이다. 결국 지분 구조에 따라 두원전자는 오너 일가 회사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두원전자 별도 기준 매출액은 530억원이다. 특수관계 내부거래 매출액은 516억원. 내부거래 비중은 97.51%다. 두원전자 매출은 그룹 내에서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감사를 담당했던 회계법인은 이를 보고서에 적시했다. 회계법인은 강조사항을 통해 “재무제표 주석(특수관계자와의 거래)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회사(두원전자)는 특수관계자에게 당기 총 매출액의 97.68%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두원전자 매출 대부분이 그룹사로부터 비롯된 건 이전에도 마찬가지였다. 두원전자의 최근 5년간 매출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거래 비중은 매년 증가했다.

매출 대부분
일감 몰아주기

두원전자의 2014년 매출액과 내부거래 매출액은 각각 675억원과 608억원으로 비중은 90.18%였다. 이어 ▲2015년 90.38%(616억원-557억원) ▲2016년 90.50%(639억원-578억원) ▲2017년 92.89%(524억원-487억원)였다.


전자공시시스템서 확인할 수 있는 두원전자의 감사보고서는 2001년이 최초다. 2001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두원전자는 224억원 매출 가운데 215억원을 그룹 주력사인 두원공조, 두원냉기 등에서 확보했다. 내부거래 비중은 96.02%로 최근과 다를 바 없었다.

두원그룹 측은 지나치게 높은 내부거래 비중에 대해 사업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룹 관계자는 <일요시사>와의 통화에서 “전장품을 만들어 계열사에 납품하는 방식”이라며 “사업구조상 외부거래보다 내부거래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출처를 외부로 돌린다 하더라도 판매처를 찾기가 쉽지 않다”며 “비슷한 업종의 다른 회사들 역시 자신들의 계열사를 통하는 구조”라고 반박했다.
 

그룹 측 설명대로라면 그룹 내 자동차부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계열사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두원냉기와 두원중공업서도 내부거래가 상당한 편이다. 동시에 그룹 삼남매는 해당 회사의 최대주주다.

최근 5년간 두원냉기 내부거래 비중은 ▲2014년 107.59%(1229억원-1141억원) ▲2015년 105.90%(1130억원-1067억원) ▲2016년 101.91%(1190억원-1167억원) ▲2017년 91.40%(923억원-1010억원) ▲2018년 88.66%(799억원-901억원) 등이었다.

두둑이∼
자회사 배당

두원중공업의 경우 매년 50% 이상의 비중을 유지했다. ▲2014년 66.13%(2297억원-3474억원) ▲2015년 64.05%(2245억원-3505억원) ▲2016년 62.06%(2225억원-3584억원) ▲2017년 57.05%(2036억원-3569억원) ▲2018년 62.85%(2190억원-3484억원) 등이었다.

두원전자는 줄곧 비슷한 지분 구조를 이어왔다. 2002년 두원전자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최대주주는 ㈜두원(31.72%)으로 현재와 같았다. 김 이사장(16.72%)과 김 대표(15.56%) 역시 오늘날 지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시 두원전자는 1억7700만원의 배당을 실시했다. 당기순이익 55억원에 배당성향은 3.17%였다. 이후 배당액은 크게 뛰었다.
 


2003년 두원전자의 1주당 현금 배당금은 1500원서 1만7500까지 뛰었다. 배당액도 1억여원서 38억원으로 수직상승했다. 배당성향은 3% 수준서 49.72%까지 높아졌다.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대비 현금배당액 비율로, 번 돈 대비 주주가 얼마나 돈을 가져갔는지에 대한 값이다.

2004년은 괄목할 만했다. 배당금이 당기순이익을 두 배 이상 앞질렀기 때문이다. 당시 두원전자는 56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지만, 141억6000만원을 배당했다. 배당성향은 무려 251.89%였다.

100% 가까운 내부거래 “구조 탓”
배당도 꼬박꼬박? “모두 재투자”

2005년에는 그 보다 적은 74억원을 배당했지만, 배당금(62억원)이 당기순이익(74억원)을 넘어선 건 마찬가지였다. 2006년은 63억원 이익에 57억원 배당으로 배당성향이 90%를 웃돌았다.

2007년에는 배당금이 당기순이익을 무려 세 배 이상 앞섰다. 두원전자는 16억원의 이익에 그친 반면 53억원을 배당해 배당성향 325.70%라는 압도적 수치를 기록했다. 이후 두원전자는 2011년을 제외한 2014년까지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두원전자는 배당을 실시했지만, 지난날과 같은 배당은 없었다. 2015년부터 4년간 두원전자는 총 54억원의 배당을 실시했다. 배당성향은 낮게는 10%대서 높게는 48%까지였다. 나머지 기간은 20%대였다.

지분구조는 ㈜두원을 비롯해 그룹 삼남매가 자리를 잡았다. 김 대표는 2012년부터 주주로 이름을 올렸다. 내부거래로 매출을 올리고 있는 두원전자의 주주가 오너 일가인 만큼, 배당금을 간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오해가 있다”
회사 측 일축

그러나 두원그룹 측은 배당금이 이른바 오너 일가의 주머니에 들어간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문제 제기에 오해가 있다는 설명이다. 그룹 관계자는 <일요시사>와의 통화에서 “지분 구조상 (두원전자가)그룹 일가로 구성돼 배당으로 현금을 가져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배당된 현금은 모두 회사로 재투자됐다”며 “한 번도 (배당금을) 가져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너 일가가)배당에 따라 현금을 가져갔다면 내부 직원들의 평판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kjs0814@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두원공대 검찰 고발, 왜?

두원공대 김종엄 이사장은 지난 8월 입학률을 조작해 정부지원금을 타냈다는 의혹과 관련, 검찰에 고발당했다.

시민단체 공익제보자모임은 서울중앙지검에 김 이사장을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사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수사해달라며 고발장을 제출했다.

앞서 공익제보자모임과 김현철 두원공대 전 입학홍보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조작 의혹을 폭로한 바 있다.

이들 주장에 따르면 두원공대는 지난 2004년부터 10여년 동안 학과별 입학 인원수를 부풀리거나 조작해 800억여원의 정부 지원금을 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인기학과에 정원보다 많은 인원을 추가 합격시킨 뒤, 미달하는 다른 학과 인원으로 등록해 전산 조작을 했다는 내용이었다.

김 전 처장은 고발장을 제출하면서 “38개 모든 학과서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뤄진 조직적인 중대 범죄”라며 “적극적인 검찰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두원공대는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충원률 조작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두원공대는 “김 전 처장이 본인 귀책으로 당연 퇴직된 뒤, 왜곡된 내용을 언론과 교육부에 제보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