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피 터지는 ‘청홍전’

  • 김삼기 시인·칼럼니스트
  • 등록 2024.04.15 13:53:38
  • 호수 1475호
  • 댓글 6개

장기는 초한 전쟁을 배경으로 두 사람이 각각 파란색의 초나라와 빨간색의 한나라를 상징하는 16개의 기물로 군대를 지휘하는 지휘관 입장서 작전을 수행하는 청홍전 게임이고, 바둑은 두 사람이 각각 흑백의 바둑돌로 바둑판 위에서 영역을 만들어가며 승부를 겨루는 흑백전 게임이다.

장기는 상대편의 왕만 잡으면 이기는 데 반해, 바둑은 상대방의 돌을 에워싸는 공간을 만드는 집을 더 많이 만들면 이긴다. 장기는 궁, 차, 포, 상, 마, 사, 졸이라는 계급이 있지만, 바둑은 모든 알이 평등해 계급이 없다.

필자는 오래전부터 국민 한 사람의 가치(투표권)가 동등한 선거에선 표를 많이 획득한 정당이 승리하기 때문에 선거는 바둑을 닮았다고 느껴왔다. 그런데 이번 22대 총선서 상대당의 대표를 잡는 정당이 승리하고, 정당을 상징하는 색깔도 파란색과 빨간색인 것을 보고, 선거가 청홍전의 장기와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총선 과정 내내 정당의 각종 지표와 이미지가 온통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표현됐고, 유세장이나 길거리서도 청색 깃발과 홍색 깃발이 가득했으며, 후보들의 옷과 모자도 청색과 홍색이 주를 이뤘으니 이번 총선이 청홍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총선이 끝난 다음 날(11일) 필자는 모 언론과의 인터뷰서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압승한 결과에 대해 “집을 많이 확보해야 이기는 바둑처럼 민주당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표를 많이 얻어 압승했다기보단 민주당이 정권 심판이라는 프레임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발목을 잡았기 때문에 승리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총선이 바둑의 흑백전이 아닌 장기의 청홍전이었다는 게 필자의 주장이다.


현재 우리나라서 흑백선전이라는 용어는 있어도 흑백선거라는 용어는 없다. 아직까지 청홍전이라는 용어도 없다. 장기도 청홍전이라고 하지 않는다.

전쟁을 연상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선거 때마다 실제 청홍전이 벌어지는 건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청홍전이라는 표현을 안 할 뿐이지 청홍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한미일 의회 구성을 볼 때, 우리나라는 미국(상·하원)과 일본(참의원·중의원)처럼 양원제가 아닌 단원제다. 그래서 2년마다 상하원 선거를 치르는 미국이나 3년마다 참의원 선거와 4년마다 중의원 선거를 치르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 총선은 4년마다 한 번 치르기 때문에 그만큼 단순하다.

문제는 단원제가 양원제에 비해 4년마다 치르는 선거 때 훨씬 강한 색깔론을 내세우며 피 터지게 싸운다는 점이다. 한미일 모두 진보정당은 파란색을, 보수정당은 빨간색을 정당의 대표색으로 정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과 일본도 선거 때가 되면 청홍전을 벌인다.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만 선거 시즌에 청색 깃발과 홍색 깃발로 나뉘어 목숨 걸고 피 터지게 청홍전을 벌이는 이유가 뭘까?

필자는 공교롭게도 그 해답을 한미일 국기서 찾을 수 있었다. 미국 국기는 파란색 20%, 빨간색 80%로 구성돼있고, 일본 국기는 가운데 원이 빨간색 100%로 구성돼있는 반면, 우리나라 국기는 우주를 상징하는 가운데 원(태극)이 파란색 50%, 빨간색 50%로 구성돼있다.

우리나라가 태생적으로 팽팽한 청홍전의 나라라는 게 이미 국기에 나타나 있다는 의미다.      


원래 우리 국민은 체육대회, 운동회 등에서 청군과 백군으로 편을 갈라 겨루는 청백전 싸움에 익숙했다.

실제로 불과 20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TV 예능 프로나 각종 모임에선 승부욕을 자극하기 위해 청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청백전을 벌였다.

그러나 지금은 청백전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KBO 리그서 자체적으로 같은 구단의 선수들이 팀을 나눠 하는 청백전 경기가 청백전의 명맥을 유지하는 정도다.

1960년대 초등학교를 다녔던 필자 세대는 매년 추석 전 열리는 가을운동회의 청백전을 잊지 못한다.

같은 반 학생일지라도 가을 운동회 때는 제비뽑기로 청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공굴리기, 줄다리기, 차전놀이, 계주 등 청백전을 했다.

당시 분교가 있는 꽤 큰 초등학교 가을운동회는 분교 학생들이 홍팀으로 참가해 청백홍전을 치르기도 했다.

가을운동회에선 주로 한 달 전부터 학년 단위로 매일 연습한 무용이나 매스게임이 가장 큰 행사였다. 승패를 가르는 것보다 단합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청팀 백팀은 필요에 의해 당일에 짠 하루짜리 팀일 뿐, 피 터지게 싸워서 이겨야 하는 팀이 아니었다. 가을운동회 의 청백전은 승자도 없고 패자도 없는 싸움이었다.

체육대회나 운동회의 청백전, 그리고 TV 예능프로나 KBO의 청백전 모두 일시적인 싸움일 뿐, 승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싸움이 아니다. 그래서 승자도 패자도 없는 청백전에 대한 이미지가 나쁘지 않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총선인 청홍전은 승자에게 엄청난 권한이 부여되는 싸움이다. 목숨 걸고 피 터지게 싸워야 하는 이유다.

그래서 언론도 총선을 청홍전이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물론 소수당의 색깔을 존중하느라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선거 때만 되면 온통 전국이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물드는 판국에 언론이 대선이나 총선을 청홍전이라고 명명할 만한데 그렇지 않은 게 이상할 정도다.

이제 22대 총선, 즉 청홍전은 끝났다. 그런데 민주당이 압승했다고 계속 파란색 깃발만 꽂거나 흔들고 있으면 안된다. 국민이 총선서 민주당을 두 번이나 밀어줬다는 건 민주당에게 여소야대의 윤석열정부를 무너뜨리라는 의미가 아니다.


국정 파트너로서 공동책임을 지고 우리나라를 잘 살고 행복한 선진국으로 만들라는 의미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