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상트 ‘500억’ 일본 송금 내역

죽어라 팔아봐야 남는 게 없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반일 감정과 코로나19 여파에 신음했던 데상트코리아가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적자의 수렁에서 빠져나온 이후 안정적인 흐름이 계속되는 양상이다. 살림살이가 풍족해지자, 바다 건너에 있는 주인마저 주머니가 빵빵해졌다. 1년간 국내에서 정성 들여 키운 수확물이 고스란히 일본을 향한 덕분이다.

데상트코리아는 스포츠·캐주얼의류 및 관련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2000년 11월 설립된 외국인 투자법인이다. 국내시장에서 ▲데상트 ▲르꼬끄스포르티브 ▲엄브로 등 다수의 브랜드를 라이선스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 일본 기업 데상트가 지분 100%를 보유 중이다.

노 재팬?

데상트코리아는 재무제표가 공개된 2001년 이후 20년 가까이 매출 우상향을 나타냈다. 2007년 1000억원을 겨우 넘겼던 매출은 2012년 4000억원을 넘긴 데 이어, 2018년에 역대 최대치인 7270억원을 찍는 등 성장세가 계속됐다.

단순히 외형적인 성장만 거듭한 건 아니었다. 2011년 10.1%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매년 10%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등 남부러울 것 없는 수익성이 뒤따랐다. 상대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저조했던 2017년과 2018년조차 700억원에 근접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할 정도였다.

양호한 실적 흐름은 대규모 현금배당을 실시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데상트코리아는 2010년대 중반 이후 현금배당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고, 2018년에는 현금배당 명목으로 250억원을 주주에게 지급하기도 했다. 당해 배당성향(순이익 중 현금배당으로 지급된 비율)은 46%로, 전년(30%) 대비 16%p 높아진 수치였다.


그러나 순풍이 마냥 계속된 건 아니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2019년 7월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를 결정한 이후 상황은 급반전됐다. 이를 계기로 반일 감정이 극에 달하면서 이른바 ‘일본 제품 불매(노 재팬)’ 기류가 확산됐고, 데상트코리아 산하 다수의 브랜드가 노 재팬이라는 유탄에 그대로 노출됐다.

반일 정서도 골치 아픈 마당에 코로나19라는 대형 악재마저 더해졌다. 2019년 말부터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외출 자제 분위기가 형성됐고, 이 여파로 오프라인 점포 영업에 적신호가 켜졌다.

데상트코리아는 노 재팬과 코로나라는 이중고를 겪으면서 2년간 엄청난 실적 부진을 감내해야만 했다. 2019년 매출은 전년 대비 1000억원가량 감소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 수준으로 뒷걸음질쳤다. 심지어 2020년에는 매출이 4000억원대로 주저앉은 것도 모자라, 창사 이래 첫 적자(영업손실 33억원)를 기록했다.

위기에 직면한 데상트코리아는 내실 경영을 탈출구로 삼았다. 2019년 말 969개였던 매장을 2021년 9월 말 기준 832개로 줄이고 마케팅 활동을 축소했으며, 한국 의존도를 낮추고자 중국 사업의 비중을 키우는 수순이 뒤따랐다.

살림살이 피니까 고배당 
기부 찔끔…주머니는 두둑

자구책이 효과를 내면서 고꾸라졌던 실적은 서서히 본 궤도에 진입했다. 2021년의 경우 매출 5437억원을 올리면서 완연한 회복 조짐을 나타냈고, 영업이익 115억원 달성과 함께 흑자 전환이 이뤄졌다.

최근에도 비교적 양호한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데상트코리아는 최근 2년간 연평균 5400억원대 매출과 350억원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순이익은 2022년 401억원, 지난해 498억원이었다.


숨고르기가 끝나자 잠시 중단됐던 현금배당이 재개됐다. 2019년과 2020년에 현금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던 데상트코리아는 2021년 243억원을 시작으로 2022년 300억원, 지난해 500억원 등 최근 3년간 총 1043억원을 현금배당했다.

넉넉하게 쌓인 이익잉여금은 현금배당을 가능하게 만든 원동력이었다. 데상트코리아는 2019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2000년도 후반부터 빠짐없이 수백억원대 순이익을 기록했고, 순이익에서 현금배당으로 쓰인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가 이익잉여금으로 전환됐다. 지난해 말 기준 이익잉여금(4330억원) 규모를 감안하면, 배당 여력도 충분하다.

다만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현금배당 규모가 과하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졌다. 지난해의 경우 배당성향이 100%를 넘겼는데, 이는 순이익(498억원)보다 현금배당(500억원)으로 빠져나간 금액이 더 컸음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1년간 벌어들인 것보다 더 많은 금액이 일본 본사를 향한 셈이다.

과도한 흐름

데상트코리아는 일본으로 향하는 현금배당에 적극적인 것과 달리 국내에서 벌이는 상생 활동에는 매우 인색한 모습이다. 데상트코리아가 최근 3년간 기부금 명목으로 비용처리한 금액은 ▲2021년 7억4200만원 ▲2022년 11억5700만원 ▲지난해 6억1600만원 등 연평균 8억3000만원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연평균 현금배당(348억원)과 비교하면 1/41에 그친다.

<heaty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