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왕회장과 귀뚜라미 승계 구도

안개 정국 후계자 대관식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경영 일선에서 한 발 떨어져 있던 귀뚜라미 회장이 지주회사 대표이사로 부임했다. 4년 만에 이뤄진 경영 복귀다. 생각지 못한 오너의 귀환은 승계 구도를 예측하기 힘들게 만들고 있다. 후계자들의 입지 확대에 제약이 걸릴지도 모를 일이다. 

귀뚜라미그룹은 지주회사인 귀뚜라미홀딩스, 사업회사인 귀뚜라미를 양대 축으로 삼고 있다. 지배구조는 큰 틀에서 ‘최진민 회장·귀뚜라미문화재단→귀뚜라미홀딩스→귀뚜라미 및 사업회사’ 등으로 이어진다.

현 지배구조는 2019년 11월 사업회사 3곳(귀뚜라미·귀뚜라미홈시스·나노켐)을 쪼개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완성됐다. 이 무렵 이들 회사는 각각 투자 부문과 사업 부문으로 인적분할됐고, 귀뚜라미의 투자 부문이 나머지 2개 투자 부문을 흡수해 통합 지주회사(귀뚜라미홀딩스)를 설립하는 수순이 뒤따랐다.

느닷없이…

그룹의 지배구조가 변모하는 동안 최 회장의 지배력은 더욱 강화됐다. 지주사 체제 전환 전 귀뚜라미 지분 25.16%를 보유했던 최 회장은,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귀뚜라미홀딩스 지분율을 31.71%로 높였다. 여기에 귀뚜라미홀딩스 지분 16.16%를 보유한 귀뚜라미문화재단도 최 회장의 우호세력이다.

자기주식을 제외하면 최 회장의 지배력은 더욱 올라간다. 의결권이 없는 귀뚜라미홀딩스 자기주식은 전체 지분 중 18.75%에 해당하며, 이를 감안한 최 회장의 실질 지분율은 39.03%다. 여기에 귀뚜라미문화재단이 보유한 지분을 합산하면 사실상 최 회장에게 60%에 가까운 지분이 몰리는 구조다.


이처럼 압도적인 지배력을 행사함에도 정작 최 회장은 지주사 체제로 전환 이후 경영 일선에서 오히려 멀어졌다. 2020년 1월부터 귀뚜라미홀딩스 대표이사를 맡았던 건 그룹 경영관리본부장(CFO) 출신의 송경석 사장이고, 귀뚜라미는 최재범 전 경동나비엔 사장이 대표이사를 맡아 경영을 이끌었다.

그러나 전문경영인이 경영을 도맡던 구도는 최근 들어 크게 바뀐 모양새다. 최 회장의 친정 체제 구축 움직임이 표면화된 덕분이다.

지난달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해 11월 귀뚜라미홀딩스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이는 곧 최 회장이 4년 만에 경영 일선으로 복귀했다는 걸 의미했다.

4년 만에 예상치 못한 귀환 
이래저래 불명확해진 수순

귀뚜라미홀딩스 측은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기 위해서라도 최 회장의 복귀가 필요했다는 입장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인한 사업 전반의 기술적 대변화에 대응하려는 차원이라는 뜻도 내비쳤다.

공교롭게도 최 회장이 대표이사에 복귀한 이후 그룹의 경영권 승계 구도를 예측하는 건 다소 힘들어졌다. 최 회장은 슬하에 2남3녀를 두고 있으며, 장남 최성환 귀뚜라미 전무와 차남 최영환 귀뚜라미 상무가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로 꼽힌다. 두 사람은 주요 보직을 거치면서 영역을 확대해 왔다.

1978년생인 최 전무는 2014년 귀뚜라미 평사원으로 입사해 착실히 경영 수업을 받았고, 현재 귀뚜라미홀딩스 사내이사로 등재돼있다. 지난해 2월 귀뚜라미랜드 대표이사로 선임됐으며, 한 달 후 인서울27골프클럽 대표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차남 최영환 상무는 2020년 1월 귀뚜라미홀딩스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지난해 7월에는 주력 계열사인 나노켐의 대표이사로 선임되면서 존재감이 한층 부각됐다.

반면 최 회장의 딸들은 주력 사업에서 사실상 배제된 상태다. 장녀인 최수영씨는 귀뚜라미랜드의 사내이사, 삼녀인 최문경씨는 닥터로빈 사내이사를 맡고 있다. 차녀인 최혜영씨는 별다른 보직을 맡지 않은 채 미국에서 거주 중이다.

현 시점에서는 부친의 커진 존재감이 후계자들의 영역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을 따져봐야 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그간 관련 업계에서는 송 사장에 이은 후임 귀뚜라미홀딩스 대표이사로 최 전무와 최 상무 중 한 명을 예상했지만, 최 회장이 대표이사에 오르면서 향후 진행 방향을 속단하기 힘들어진 모양새다.

복잡해진 셈법

게다가 최 회장이 보유한 지주사 지분을 장남과 차남이 어느 시점에 어떤 방식으로 넘겨받을지조차 불명확한 상황이다. 최 회장의 자녀 중 귀뚜라미홀딩스 지분을 보유한 건 최 전무(12.16%), 최 상무(8.40%), 최문경씨(6.67%) 등으로 국한된다. 다만 이들이 보유한 지주사 주식을 합쳐봐야 최 회장보다 지분율이 낮다.

<heaty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샘 시흥공장 그린벨트 훼손 의혹

[단독] 한샘 시흥공장 그린벨트 훼손 의혹

[일요시사 취재1팀] 김철준 기자 = 우리나라는 개발이 제한돼있는 토지가 있다. 해당 토지들의 개발을 위해선 지자체장의 승인이나 대통령령 승인이 있어야 한다. 부동의 가구 1위 기업인 한샘이 개발제한구역을 마음대로 훼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상은 시흥 제1공장 부지 주변 필지다. 행정조치가 완료됐다고는 하지만 완전히 원상복구는 되지 않았다. 한샘은 주방·인테리어가구를 판매·제조하는 대한민국 부동의 1위 가구 업체다. 1970년 9월 한샘으로 창립한 뒤 1977년 국내 최초로 주방가구를 수출해 1979년에 수출 100만달러 돌파의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한샘의 2023년도 기준 매출액은 1조9669억원에 달한다. 영업이익은 19억4660만원이다. 최초의 공장 성장 시발점 한샘의 성장은 시흥 공장과 함께했다. 조창걸 명예회장이 자본금 200만원으로 은평구 대조동에 23.1㎡의 매장으로 시작했던 한샘은 1976년 시흥시 조남동에 최초의 공장다운 공장을 설립했다. 제1공장을 통해 한샘은 생산 체계를 크게 개선하며 큰 실적 향상을 이뤘다. 한샘은 현재 시흥과 안산 등에 4개의 물류센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당초 한샘 시흥 공장은 조남동 ▲594-1번지 ▲91-144번지 ▲91-145번지 세 곳의 필지, 약 1만4610㎡의 면적으로 지어졌다. 현재는 한샘은 91-117번지 매수해 총 1만8429.8㎡의 면적을 공장 부지로 사용 중이다. 등기사항전부증면서 확인 결과 한샘은 해당 부지 외 시흥 공장과 인접한 4개 필지 ▲조남동 91-163번지, 2076㎡ ▲조남동 91-165번지, 207㎡ ▲조남동 91-166번지, 109㎡ ▲조남동 산 57-1번지, 3273㎡도 소유하고 있다. 항공지도에 따르면, 한샘 시흥 공장의 정문 바로 앞을 3개의 필지 ▲조남동 91-163번지 ▲조남동 91-165번지 ▲조남동 91-166번지가 둘러싸고 있으며 산 57-1번지는 공장 뒤편 산과 맞닿아 경계를 이루는 형세를 나타낸다. 그런데, 가장 오래된 2008년 항공사진부터 지금까지 해당 필지를 야외주차장 및 자재 적재용으로 사용해 왔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해당 필지의 지목이 모두 ‘임야’라는 것이다. 임야는 산림과 원야로 구성된 토지로, 공간정보관리법에서는 죽림지, 수림지, 암석지, 모래땅, 습지, 황무지, 자갈땅 등을 예로 들고 있다. 임야는 대부분 산림자원보호법에 따라 산림보호구역 또는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다. 즉, 산림청의 허가 없이는 토지의 용도변경이나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간혹 산림보호구역이나 지역이 아닌 임야도 있지만 이 역시 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토지의 용도변경이나 개발이 가능하다. 시흥 제1공장 주변 4필지 무단 개발 개발제한지역·공익용 산지에 해당 한샘이 야외주차장과 자재 적재용으로 사용한 필지는 모두 개발제한구역에 포함돼있다. 한샘이 산림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땅을 개발해 무단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는 의심이 드는 사안이다. 실제로 시흥시 도시정책과는 해당 필지와 관련해 많은 민원을 접수했다. 민원은 해당 필지들의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위반이 주된 내용이었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에 따르면, 개발제한구역에서는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토지의 형질변경, 죽목의 벌채, 토지의 분할, 물건을 쌓아놓는 행위(적재) 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1항에 따른 도시·군계획사업의 시행을 할 수 없다. 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와 이에 따르는 토지의 형질변경 ▲개발제한구역의 건축물로서 제15조에 따라 지정된 취락지구로의 이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철거된 건축물을 이축하기 위한 이주단지의 조성 ▲건축물의 건축을 수반하지 않는 토지의 형질변경으로서 영농을 위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의 형질변경 등 9가지의 경우만 예외로 하고 있다. 이렇듯 한샘의 4 필지 사용은 예외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산림청장 허가받았나 민원을 접수한 시흥시 건축과 개발제한구역지도팀은 2020년에 해당 필지에 관한 현장조사 이후 한샘에 원상회복 행정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한샘은 이에 불복하고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감행했다. 재판부는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한 한샘의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이행강제금 일부를 한샘에 돌려주도록 판단했다. 하지만 이는 시흥시의 행정조치가 잘못됐다는 판결이 아니었다. 법적 싸움 끝에 시흥시의 원상복구 행정조치는 진행됐다. 시흥시 개발제한구역지도팀에 따르면, 한샘은 행정소송 이후 2022년부터 2023년에 걸쳐 원상복구를 완료했다. 시흥시 개발제한구역지도팀 관계자는 “행정조치 이후 원상복구까지 불법으로 개발한 것을 모두 해체하고 폐기물 처리까지 완료해야 하는 만큼 많은 시일이 걸린다”며 “해당 필지(조남동 91-166번지와 산 57-1번지)는 지난해 11월 원상복구 이행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샘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한샘이 소유하고 있거나 소유했던 땅으로 불법 점용한 적이 없으며, 해당 부지는 개발제한구역 지정 전과 동일한 상태로 복구를 완료한 상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한샘은 여전히 해당 필지들을 불법 점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흥시가 원상복구 이행을 확인한 필지는 조남동 91-166번지와 산 57-1번지다. 하는 척 얼렁뚱땅 <일요시사> 확인 결과 조남동 91-166번지는 도로와 인접한 부분의 절반의 울타리만 철거됐으며 여전히 4~5대의 차량이 주차돼있는 상태였다. 해당 필지는 개발제한구역이면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역‧지구로는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로 구분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 4층 이하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지만, 개발제한구역이므로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등이 불가능하다. 시장 혹은 도지사·군수 등의 허가를 받을 경우 가능하지만, 시흥시에서는 해당 부지의 주차장 사용을 허가해주지 않았다. 행정조치 이후에도 계속 불법으로 점용하고 있는 셈이다. 산 57-1번지도 마찬가지다.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해당 필지를 덮고 있던 콘크리트는 2013년에 사라졌지만 자재가 적재돼있었다. 이후 2020년에 다시 콘크리트가 덮였다가 2022년 흙밭으로 복구됐다. 하지만 여전히 자재는 적재돼있다. 게다가 <일요시사> 확인 결과 조남동 산 57-1번지와 조남동 산 57-5번지가 개발제한구역이면서 공익용 산지로 지정돼있어 보전산지로 분류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산 57-5번지가 산지 그대로 있는 것과 다르게, 산 57-1번지는 콘트리트가 지반을 받치고 있으며 경계선에는 울타리가 쳐져 있다. 행정조치 완료? 완전 복구 안돼 한 부동산 전문 변호사는 “공익용 산지를 마음대로 개발하면 산지관리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며 “해당 부지 명의가 한샘이더라도 시장 등 지자체의 허가 없이 개발하면 안되는 곳으로 구조물을 통해 공장부지와 평행을 맞추는 지반을 만드는 것도 허가가 필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행정조치가 진행 중인 상황에 문제가 되는 필지를 매매한 정황도 포착됐다. 한샘은 조남동 91-163번지의 필지를 1985년 매입했다. 이후 야외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해당 필지를 2022년 11월4일 갑자기 팔아버렸다. 2022년은 한샘과 시흥시의 행정소송이 끝나고 행정조치가 진행되던 시기였다. 현재 해당 필지는 ㈜효경개발이 매수해 크레인과 덤프트럭 등 중장비 주차장으로 이용 중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원상복구에 많은 금액이 들어가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토지를 매매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한 토지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야외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토지를 원상복구하는 데 많은 금액이 들어가지 않지만 해당 필지는 공익용 산지로 산지 조성까지 해야 해 상황이 다르다”며 “산지 조성에 들어가는 금액도 지불하지 않고 토지를 매매한 것은 이중으로 이익을 얻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샘 관계자는 “크레인 등 장비가 있는 부지는 한샘의 소유가 아니므로 저희가 알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문제의 필지 매매한 정황 한샘 측은 이번 불법 점용 의혹에 관해 개발제한구역 지정이 공장 설립보다 늦게 이뤄져 어쩔 수 없이 불법적인 개발로 분류됐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해당 필지들은 지난 1976년 12월에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됐다. 시기상 한샘의 공장 설립 이후에 묶인 셈이다. 하지만 산 57-1번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필지들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인 1985년 매입한 땅이라 불법임을 알고도 마음대로 개발했다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