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신년기획 청룡뎐

푸른 용의 해를 만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갤러리마리서 ‘푸른 용의 해’ 갑진년을 맞아 신년기획 전시 ‘청룡뎐’을 준비했다. 갤러리마리는 매년 초마다 그 해를 상징하는 동물을 주제로 시리즈 전시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는 현대미술 작가 12인이 자유롭고 폭넓은 해석으로 각자만의 고유성이 담긴 작품 34점을 선보인다. 

용은 흔히 ‘띠’라고 부르는 12지, 열두 동물 중 유일하게 상상의 산물이다. 소의 머리와 뱀의 몸통, 매의 발톱, 사슴의 뿔 등 다양한 동물의 신체를 조합해 만들었다고 알려진 전설의 동물. 서구권에서는 불과 악의 이미지로 각인돼있지만 동양권에서는 신성함의 상징이면서 신앙과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익살스럽고

특히 농경을 업으로 하던 우리 민족은 용을 물을 관장하는 신으로 여겼다. 실제 땅과 바다의 풍요로움을 기원하기 위해 용에게 빌던 풍습이 존재했다. 용의 위엄성은 왕권에도 반영돼 용안(임금의 얼굴), 용포(임금의 옷) 등 임금과 관계되는 대부분에 용을 넣어 호칭했다.

권위와 권력을 가진 인물을 상징하는 단어로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며 등용문(출세를 위해 거쳐야 하는 관문)이나 ‘개천서 용 났다’는 말 등 출세와 성취의 상징으로도 사용됐다. 

작가 김동철은 일본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에 나오는 캐릭터인 ‘미뇽’을 작품으로 제작했다. 실제로 본 적 없는 용의 이미지보다 이미 인간의 상상으로 만들어져 우리 눈에 익숙한 용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김성두는 작품 ‘행-청룡’을 통해 다채롭게 표현된 요일을 선명하게 드러냈다.


시간과 공간이 교차하는 지점, 그 속에 우리의 삶이 흘러가고 있다는 취지다. 

김선형은 맑고 힘있게 뿜어져 나오는 거대한 푸른 획으로 자유롭게 노닐고 춤을 추는 듯한 새로운 자연의 정원을 표현했다. ‘Garden Blue’는 평온하고 따뜻하면서도 생기 넘치는 마음속 푸른 정원에 청룡의 형상을 결합한 작품이다.

김정옥은 서양권에서는 날개 달린 용의 이미지를 흔히 접하지만 동양권서 제작된 이미지에서는 날개가 없다는 점에 착안했다. 그는 작품 ‘청룡’서 작위적으로 날개를 묘사하기보다 즐겁게 날아오르는 황새와 용을 함께 화폭에 담았다. 

12명 작가 각양각색 작품
“활력 넘치는 한 해 되길”

박방영은 형식이나 재료에 얽매이지 않고 거침없이 표현해 기운생동한 작업세계를 선보이고 있는 작가다. 그는 ‘천룡’을 통해 의인화된 용을 표현했다. ‘혜이신, 명즉성’ 즉, 사랑으로 새롭게 하고 밝음으로 본성에 이른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반미령은 작품 ‘신세계를 꿈꾸며’를 통해 시간이 정지한 듯한 초현실적 풍경을 표현했다. 현실에 없는 듯한 신비로운 분위기는 보는 이에게 긴 여운과 잔상을 남긴다. 작은 서랍 안에 열매가 들어 있고 한 쌍의 새, 포근하면서도 거대한 하늘 위 용의 모습 등은 고요하지만 생명력으로 가득 차 있다. 

이경훈은 작품 ‘Look at the sky’에 맑은 하늘 옅은 구름 속 용의 이미지를 숨기듯 그려 넣었다. 일상서 느껴지는 불안감, 김장감 등에서 해방될 수 있는 순간을 하나의 장면으로 만들어 표현했다. ‘Jeju island's Dragon’이라는 작품을 선보인 정길영은 짙푸른 제주 바다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주의 이야기와 용의 이미지를 익살스럽게 콜라주했다.


정재원은 ‘이무기입니다만…’을 준비했다. 그는 토끼나 고양이 등 의인화된 동물의 이미지에 일상 속 우리의 모습을 투영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직 용이 되지 못하고 물속에서 살아가는 이무기의 모습을 톡톡 튀는 컬러와 질감으로 묘사했다.

지오최는 ‘Blue Dragon Family and Lover’를 통해 제주 바다서 느낀 것을 청룡의 이미지에 투사해 표현했다. ‘비바람 따라 구름 가고, 구름 따라 용도 간다’는 속담처럼 비와 물을 상징하는 상서롭고 생명력 있는 용의 의미를 담았다. 

최순녕은 작품 ‘벽사용무’를 통해 용의 춤을 표현했다. 작품에는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의 탄호이저 서곡 악보가 그려져 있다. 그는 이 음악의 멜로디가 용의 움직임을 닮았다고 말했다. 추니박은 숲을 지키는 신으로 청룡신을 그린 ‘숲의 수호자’를 선보인다. 총을 들고 숲을 뛰어다니며 악당을 물리치는 용신의 모습을 유머스럽게 해석한 작업이다. 

유머스럽게

갤러리마리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 참여한 12명의 작가는 익살스럽고 자유로운 주제의 해석을 통해 어느 때보다 쉽고 친근한 현대미술로 다가선다”며 “그들의 작품으로부터 푸른 용의 기운을 받아 열정적으로 도전하고 활력 넘치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다음 달 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