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2인전 ‘미셀러니’ 나혜원·변진

그림으로 표현한 수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용산구 소재 라흰갤러리서 나혜원·변진 작가의 2인전 ‘미셀러니’를 준비했다. 이들은 삶에서 묻어나는 신변 소재가 어떻게 독창적인 가치를 얻을 수 있는지 고민했다. ‘자기를 쓰는’ 수필적 발상과 형식을 통해 현실을 의미화하고 일상성을 일상성으로 극복하는 두 작가의 시선을 담았다. 

나혜원·변진 작가가 준비한 ‘미셀러니’는 서정과 지성에 토대를 두고 일상의 체험서 상상력을 동원하는 모범적인 형식을 문학으로부터 발견했다. 사소한 것을 헤아리는 섬세함으로 창작자의 체험을 드러내는 이 장르가 바로 미셀러니, 즉 경수필이다. 

수필화

전시가 말하는 수필의 진정한 의미는 가까운 대상으로부터 존재 이유를 생각하고 그것과 나의 관계를 관조적 상상력으로 형상화하는 데 있다. 수필의 본질을 고려할 때 두 작가의 작업은 마치 한 폭의 수필화처럼 스스로를 문학화하는 서정을 풍긴다. 

내면으로부터 출발한 이야기를 작가인 자신을 주인공으로 삼아 전달하거나 작가의 이야기가 마치 나비효과처럼 독자의 이야기로 전환되는 측면은 수필적 발상과 형식에 걸맞다. 수필적 발상의 관건은 보이는 것 같지만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심상을 삶으로부터 길어내는 데 있다.

두 작가는 사실 차원의 체험을 열린 눈으로 표현해 시각 예술의 맥락 안에서 이를 분명하게 구현해냈다. 


나혜원은 가족, 친구와 연인, 공간 등 친밀한 관계를 맺는 모든 것을 관찰했다. 밀접한 영역 안에서 포착되는 짧지만 강한 친밀감, 친밀감의 이면에 따라붙는 유약함과 잔혹성, 미성숙함 등을 소재로 삼았다. 

이번 전시서 나혜원이 자주 다루는 정물과 인물은 의도가 배제된 자연스러운 상황서 그가 인연을 맺은 대상이다. 작가는 그들과의 조우가 남긴 복합적인 인상을 재구성해 작업에 남겼다. 

나혜원의 수필적 발상은 이처럼 사적인 이야기를 거짓 없이 용기있게 발언해 그것의 공적인 울림을 확장할 때 비로소 빛을 발한다. 특히 물감에 오일을 다량으로 섞어 이미지를 수채화처럼 번지게 하는 작업 과정은 작은 터치 하나에도 운동성과 시간성이 가감 없이 발현되게 하면서 작가의 시선을 관람객에게 진솔하게 전달하고 있다. 

일상의 체험에 상상력 동원
일상성을 일상성으로 극복

조은영 라흰갤러리 큐레이터는 “친밀한 관계의 배후서 양가적인 맥락을 읽는 일이 종종 부끄럽고 사사로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나혜원은 나를 드러내는 용기와 진실이 담긴 말의 무게, 바람직한 삶에 관한 내면의 확실성을 갖춰 관람객과의 진실한 소통을 도모한다”고 설명했다. 

변진은 일상을 말없이 오래 응시하면서 장소와 머무름, 소속과 일탈, 기거하는 공간으로부터 빚어지는 내적인 마찰 등을 작업에 옮겼다. 타인 속에 얽히고설킨 자신의 작은 존재를 타당하고 필연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려 존재의 역사를 세우고 실존의 의미를 모색하려는 의도다. 

변진은 일상의 흔적을 기록한 그림을 매개로 자아와 삶이 선순환적으로 소통하기를 추구했다. 그의 작업에는 뚜렷한 인물이나 내러티브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를 통해 화면의 바깥서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있다는 점을 암시하면서 시선과 현실 사이의 유기적인 교류가 작업의 주제라는 것을 드러냈다. 


조 큐레이터는 “변진은 사사로운 체험을 극적인 장치보다 관조와 고백적 통찰로 다뤘다. 그의 그림이 소속감과 삶의 터전, 장소와의 관계를 맺는 문제 등에 대해 자신뿐만 아니라 누구와도 쌍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기를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쌍방향 소통

라흰갤러리 관계자는 “나혜원과 변진이 준비한 2인전 미셀러니는 삶의 이야기를 나름의 렌즈에 맞춰 그려내는 두 작가의 작업을 조명해 그들이 풍부한 반향을 지닌 그림의 힘으로 어떻게 관람객 앞에 진지한 삶을 불러들이는지 살피는 전시”라고 강조했다. 전시는 다음 달 9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나혜원은?]

▲개인전
‘Short Film, Babylon Berlin’ 베를린(2023)
‘The Faces I saw’ 양림미술관(2021)
‘우리(Uri).zip’ BINCAN(2021)
‘ㄱHUNDOG’ Lily's Bar(202)

[변진은?]

▲주요 전시
‘자기만의 픽션’ 화성문화재단 공모전, 갤러리 바스캣(2023)
‘NEWE: Daily Collective’ 스토리칸x미아(2023)
‘대화의 시작’ 갤러리 온실(2022)
‘자라나는 실내_탈주의 전략들’ 반도문화재단 갤러리(2022) 외 다수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