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획> ‘핏줄 경영’ 재벌가 방계기업 대해부

재벌이 만든 또 다른 재벌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재벌기업이 대한민국 경제에 끼치는 영향력은 실로 막대하다. 눈에 보이는 영역은 물론이고, 대중이 인지하지 못한 곳에서도 재벌기업의 손이 닿아 있다. 재벌기업은 또 다른 재벌기업을 탄생시키기도 한다. 계열분리를 거치며 홀로 선 ‘방계기업’이 산업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방계기업은 재벌기업 창업주의 직계 후손이 아닌 동생이나 조카 등 방계혈족이 독자 경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탄생하곤 한다. 창업주와 친인척 관계로 묶인 오너 일가 구성원이 많을수록 다수의 방계기업이 분포하는 게 일반적이다.

밀고 당기고 
긴밀한 관계

또 모기업의 업력이 오래됐거나 덩치가 클수록 방계기업의 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나곤 한다. 한 예로 ‘범삼성가’로 묶이는 방계기업들은 독자적으로 재벌기업 반열에 올라 있다. CJ그룹, 신세계그룹의 경우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된 상태며, 한솔그룹, BGF그룹 등은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렸다.

‘범현대가’ 역시 비슷한 흐름이었다. 정주영 창업주가 타계한 이후 현대그룹은 지속적인 분리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창업주의 친인척들이 독자 경영에 나서면서 현대라는 울타리만 공유하는 수많은 방계기업이 탄생했다.

범현대가에 속한 상당수는 지금껏 대기업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를 필두로 HD현대, 현대백화점그룹, HDC그룹, KCC그룹 등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분류된 상태며, HL그룹은 공시대상기업집단에 포함됐다.


범현대가에 속한 모든 방계기업이 대중에게 각인될만한 인지도를 갖춘 건 아니다. B2B(기업 대 기업) 솔루션에 주력하거나 덩치가 대기업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몇몇 방계기업은 대중의 시선에서 한 발 비껴나 있다. ‘후성그룹’이 대표적이다.

후성그룹은 한국내화에 뿌리를 둔 중견기업 집단으로, 현재는 후성, 퍼스텍 등을 거느린 그룹사의 면모를 갖춘 상태다. 창업주인 김근수 회장(1948년생)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관계로 인해 현대그룹 방계로 분류된다.

김근수 회장은 정주영 창업주의 여동생인 고 정희영 여사와 고 김영주 한국프랜지공업 명예회장의 둘째 아들이다. 김 회장은 1983년 현대그룹으로부터 울산화학을 사들이며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나타냈다. 현재 오너 일가는 후성HDS에 관한 확고한 지배력을 바탕으로 나머지 계열사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뿌리는
같지만…

LG그룹 역시 수많은 방계기업을 탄생시키며 ‘범LG가’를 형성했다. 방계기업 중 LS그룹, LX그룹 등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분류되고 있다. LF그룹, 아워홈 등 인지도 높은 중견기업도 범LG가로 묶인다.

범LG가는 철저한 ‘장자 승계’ 원칙에 따라 형성됐다. 장자 승계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이전 세대는 그룹 후계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그룹에서 떨어져나왔다. 최근까지도 범LG가에 속하는 중견기업 집단은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구본준 회장이 LX그룹으로 홀로서기를 선택한 게 가장 최근 일이고, LT그룹 역시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 비슷한 전철을 밟았다.


LT그룹은 2019년 1월 출범한 기업집단이다. 오너인 구본식 회장은 둘째 형인 구본능 회장과 함께 희성그룹 경영을 이끌다가, LT삼보(옛 삼보이엔씨)를 비롯한 4개 계열사를 떼어내 홀로서기를 선택했다.

구본식 회장 일가는 2017년 LT삼보 지분 93.47%를 보유한 희성전자로부터 LT삼보 지분을 매입하면서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이후 구본식 회장은 LT삼보를 주축 삼아 LT그룹을 출범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출범 5년 차를 맞이한 그룹은 최근 지배구조 변경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7월, LT삼보는 투자 부문 ㈜LT(신설)와 건설 부문 LT삼보(존속)로 기업을 분할했다. 분할 결정에 따라 그룹 지배구조는 ‘㈜LT→LT삼보·LT메탈·LT정밀→LT소재’로 이어지는 그림으로 재편됐다. 

LB인베스트먼트 역시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덜한 범LG가 구성원이다. LB인베스트먼트는 유망 기업을 유니콘 기업으로 키워낸 역량이 부각되는 곳으로, 고 구인회 LG 창업주의 넷째 아들인 구자두 회장 일가가 운영하고 있다. 1996년 LG전자와 LG전선 등 LG그룹 계열사들의 출자로 설립됐으며, 2008년 LG그룹에서 분리됐다.

LB인베스트먼트 지분은 비상장사인 ㈜LB가 100% 보유하고 있으며, 구자두 회장의 장남인 구본천 LB인베스트먼트 부회장과 차남 구본완 LB휴넷 대표는 ㈜LB 지분을 각각 28.27%, 26.65%씩 보유하고 있다.

멀고도 가까운 이웃사촌
적당히 끈끈한 유대관계

GS그룹은 2005년 동업 관계를 청산하면서 LG그룹에서 떨어져나왔고, 현재는 GS그룹을 축으로 하는 ‘범GS가’가 형성돼있다. 가장 눈에 띄는 GS그룹 방계기업은 코스모그룹이다. 

코스모그룹은 허만정 명예회장의 넷째 아들인 허신구 회장 계열 오너 3세인 허경수 회장이 지배하고 있다. 허경수 회장과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사촌지간이다. 코스모그룹은 2015년 GS그룹과 계열분리를 끝내고 지주사 코스모앤컴퍼니를 설립하는 등 독립 경영을 시작했다.

모기업과의 순탄치 못한 관계로 방계기업이 설립된 경우도 종종 목격된다. ‘범롯데가’는 롯데그룹을 필두로 농심, 푸르밀, 롯데관광개발 등으로 구성돼있다. 고 신격호 롯데 명예회장과 나머지 형제 사이에 견해 차이가 컸고, 이를 계기로 방계기업이 생기는 일이 반복됐다.

신격호 명예회장은 5남5녀 집안의 장남이고, 신춘호 농심 회장은 신격호 회장의 둘째 남동생이었다. 신춘호 회장은 일본 롯데 이사를 지내며 신격호 명예회장을 돕다가 1965년 롯데공업을 차렸는데, 라면 사업을 하고자 하는 동생의 구상에 신격호 명예회장은 반대했다.

결국 신춘호 회장은 1978년 사명을 ‘농심’으로 바꾸고 홀로서기에 나섰다.

신준호 푸르밀 전 회장도 신격호 명예회장과 관계가 썩 좋지 않았다. 신준호 전 회장은 과거 롯데제과·롯데칠성·롯데물산 등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를 지내는 등 그룹 내 영향력이 컸지만, 2007년 계열분리를 선택했다.


신준호 전 회장은 신격호 명예회장이 브랜드 사용을 막으면서 ‘롯데’라는 상호를 쓰지 못했고, 롯데햄으로부터 롯데우유 지분 100%를 인수한 신준호 전 회장은 2009년 사명을 푸르밀로 바꿨다. 롯데그룹은 2010년 롯데삼강이 파스퇴르유업을 인수하며 우유 사업에 재진출했다. 

롯데관광개발도 엇비슷한 흐름이었다.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은 신격호 명예회장의 막내 여동생인 신정희 동화면세점 대표의 남편이다. 롯데관광개발이라는 사명에는 ‘롯데’ 두 글자가 들어가지만 롯데그룹의 지분은 없다. 과거 신격호 명예회장은 김기병 회장이 롯데 브랜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적당히
홀로서기

재벌기업에서 갈라져 나온 방계기업을 보는 시각은 마냥 호의적이지 않다. 일부 방계기업은 모기업에 기대면서 덩치를 키우거나, 지명도를 이용한 인수합병(M&A)에 치중한다는 지적을 받곤 한다.

한익스프레스는 한화그룹의 방계기업으로 분류된다. 한익스프레스는 2020년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솔루션으로부터 부당한 지원을 받은 사실이 적발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72억8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1979년 한화그룹 계열사로 설립된 한익스프레스는 2009년 김영혜씨와 그의 차남인 이석환 한익스프레스 대표가 경영권 지분을 확보하며 한화그룹의 특수관계기업에 포함됐다. 김영혜씨는 김승연 회장 누나다. 한익스프레스는 현재 ‘이석환 체제’로 접어든 상태다. 2021년 이석환 대표의 부친인 이재헌 전 한익스프레스 대표가 경영에서 물러났고, 지난해에는 김영혜씨가 본인 지분 전량을 증여했다.

<heaty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케이삼흥 사태가 대국민 사기극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가 최소 1000여명,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등 실체가 드러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무엇에 홀려 돈을 넣었을까? 무엇이 그들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안겨줬을까? “징조도 없었어요. 2월까지는 돈이 잘 들어왔거든요. 3월25일하고 27일에 원금하고 배당금이 안 들어오면서 난리가 난 거죠.” <일요시사>와 연락이 닿은 한 케이삼흥 투자 피해자는 여전히 정신이 없는 듯했다. 이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에게도 투자를 권유했다고 한다. 현재 원망 그 이상의 감정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2월까진 괜찮았다 최근 케이삼흥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플랫폼업체 케이삼흥은 월 최소 2%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 단위로 따지면 24%의 고수익 투자상품인 셈이다. 피해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말에 현혹된 것으로 보인다. 케이삼흥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예정인 토지를 매입한 뒤 개발사업이 확정되면 소유권을 넘겨 보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다고 홍보했다. ‘토지 보상 투자’라는 용어가 나왔다. 직급에 따라 수익금을 차등 지급하는 다단계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해 전형적인 ‘다단계금융 사기’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사태서 의문이 제기된 부분은 횡령 등의 혐의로 복역한 경험이 있는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이 어떻게 또다시 수천명에 이르는 투자자를 끌어모았는지다.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의 창시자로 불린다. 토지를 싼 가격에 사들인 뒤 개발 호재 등이 있다고 소문내 이를 쪼개 파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다. 이 과정서 투자금 20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2006년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20여년이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서울 등 전국에 7개 지점을 둔 케이삼흥은 언론 광고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투자자를 모았다. 한 케이삼흥 직원에 따르면, 7개 지점서 일하는 직원은 300~350명가량이었다. 직원들은 이른바 가족·지인 영업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월 2% 수익 약속에 수천명 투자 20년 전과 과정도 결과도 같다? 대부분의 직원은 중·장년층으로 인터넷 기사 등을 통해 공개된 김 회장의 과거를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의 사기 전과를 알고 있던 피해자 역시 “원래 무죄였다”거나 전직 대통령을 거론하는 김 회장의 말솜씨에 넘어갔다고 한다. 훈장, 공적비, 기부 기사 등은 김 회장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배당금은 김 회장에 대한 신뢰를 굳건하게 만들었다. 투자금의 1.5~2%에 이르는 배당금이 매달 입금되고 계약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 들어오는 구조였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하고 3개월 만기로 계약을 맺었다면 1060만원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수준이었다. 김 회장은 본인의 사재를 털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있다고 직원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면서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투자자를 모집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김 회장은 자신의 재산이 1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수익이 나기 전까지 자신의 돈으로 원금과 배당금을 일부 주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꾸준히 원금과 배당금을 받은 대부분의 피해자는 더 많은 돈을 재투자했다. 피해액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다. 하지만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방식의 사업구조는 자금 순환이 막히면서 결국 무너져 버렸다. 피해자는 지난 2월까지 원금과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받았기에 케이삼흥 사태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장년층↑ 하지만 경고음은 분명히 존재했다. 회계법인은 케이삼흥에 대해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감사 의견 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할 때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 때 ▲감사인의 독립성 결여 등으로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제시한다. 기업 내부 사정이 심상찮다는 소리다. 케이삼흥의 경우 ‘회계연도의 현금흐름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을 받지 못했다’가 감사 의견 거절의 근거가 됐다. 그럼에도 수많은 피해자는 김 회장을 철석같이 믿었다. 오히려 정관계 인사를 잘 안다는 김 회장의 말이 피해자의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과거에도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 사기로 검찰 조사를 받던 시기에 정관계 로비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회장이 횡령한 돈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치권 등의 유력인사를 언급해 투자자의 믿음을 사는 김 회장의 수법은 이번 케이삼흥 사태서도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 피해자는 “(김 회장이)정치인 인맥이 많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얻는 젊은 층에 비해 정보에 어두운 중‧장년층은 김 회장이 주장하는 인맥에 신뢰를 보냈다. 사기 전과 있는데도…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과의 친분도 주장했다. 강연 과정서 서울시 고위공무원의 직책을 언급하면서 그를 통해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과정서 토지나 주택 등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의 이름도 등장한다. 투자자에게 수익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김 회장은 “작년에는 부동산 경기 자체가 불투명하니까 1년 동안 거의 안했어요. 착공 들어가려면 제일 먼저 하는 게 보상 업무잖아요. 올해 작년 것까지 합쳐서 하고 있어요. 사업계획 세워놓은 것은 차질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을 말하면서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이)그걸 관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은 서울시서 주택, 재난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을)만나서 사업이 진행되면 케이삼흥 것을 우선적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토지 보상을 하는 과정서 케이삼흥에 우선적으로 협조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주진입도로’ 등을 언급하면서 “2단계든, 3단계든 관계없이 케이삼흥 것을 먼저 협조해주겠다고 그 약속까지 제가 다 받아냈으니까. 하반기에 보상 나오는 것은 확실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투자자들은 중간중간 호응하다가 김 회장의 말이 끝나자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정치인 인맥·훈장 자랑 당사자는 “처음 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일요시사>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의 인물은 지난 8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김현재라는 이름은 지금 처음 듣는다”고 전했다.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명도 이날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과는 사적 친분은 물론이고 전혀 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케이삼흥 사태는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서 수사하고 있다. 김 회장 등 케이삼흥 경영진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과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다.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와 피해액은 최소 규모로 시간이 가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직원으로 불린 모집책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상대로 투자를 권유한 경우가 많아 가정이 파탄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가족의 병원비 등을 투자금으로 넣은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수사기관에 고소하거나 집회를 준비하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빠른 수사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케이삼흥 사태와 같은 대형 사건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를 권유한 사람에게 독촉을 받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빠른 수사 피해 복구는? 한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 돈까지 다 끌어모아서 투자했다. 원금만이라도 제발 돌려받고 싶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얼굴을 들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직원이면서 동시에 투자자인 이 피해자는 5억원 이상을 투자금으로 넣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